학술논문
청주지역 영유아의 이유 실태 및 영유아 어머니의 이유식 광고에 대한 신뢰도
이용수 93
- 영문명
- Weaning Practices of Infants and Their Mothers" Reliability on Advertisements of Commercial Weaning Foods in Cheongju Area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김기남(Ki Nam Kim) 고선미(Sun Mi Ko) 권현정(Hyun Jung Kwon)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총』생활과학연구논총 제9권 2호, 143~15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0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 surve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weaning practices of infants and their mothers" reliability on advertisements of weaning foods. Subjects included 120 mothers who visited public health centers in Cheongju city between Jan. 24th and Feb. 14th in 2003 and had babies aged under 24 months, and were interviewed using a questionnai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the start time of weaning, half of subjects(50.0%) answered that they began when their babies were three or four months old, and in the cessation time, 34,5% of respondents stopped weaning when their ages were 12 or 13 months. In the kinds of weaning foods, 42.6% of subjects answered that they fed commercial formula, and 40.9%, home made foods, and 16.5%, both of them. In the reason of feeding commercial formula, 48,3% replied because of "convenient", and 25.0%, "more nutritious than home-made. Majority of subjects who used commercial weaning foods answered that they satisfied with that foods, and the main reason why they selected the specific brand was "high credit of manufacturer". Mean score of reliability on advertisements showed 2.05-3.02(full score 4.00) in five categories of advertisement messages. 68.1% of the subjects answered that they met some over-exaggerated advertisements.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according to the degree of reliability on advertisement, those, who had high reliability, used commercial weaning foods more frequently, and accepted advertisements more positively compared to those who had low reliability. Therefore, the education for women who consume weaning foods should be needed, and monitoring and supervision over baby food advertisements are required to protect consumers from the adverse effect of exaggerated advertising.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역성 반영 아파트 계획을 위한 청주의 지역특성 고찰
- 청주지역 영유아의 이유 실태 및 영유아 어머니의 이유식 광고에 대한 신뢰도
- 미혼여성의 웨딩드레스 선택행동과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 패스트푸드 섭취빈도에 따른 청주지역 중학생의 식습관 특성 및 영양소 섭취량
- 재건축사업의 진행단계에 따른 청주지역 아파트가격 변화
- 어머니의 성격특성, 부부갈등과 유아의 문제행동이 아동학대잠재성에 미치는 영향
- 황색계 천연염색 직물과 생쪽의 복합염색
- 청주시 소매점 유형별 가격분산에 관한 연구 - 식료품과 생필품을 중심으로
- 대학생의 소비자재무관리 교육의 효과
- 여대생의 체중조절에 대한 인식 및 실태조사
- 청주 지역 주부들의 건강기능식품 섭취와 인지도
- 유아의 공격성에 관한 요인분석
- 식품섭취빈도법과 24시간 회상법에 의한 대학생의 카페인 섭취실태
- 어머니와 아동의 성역할태도와 모자녀갈등
- 조모와 어머니 두 세대의 자녀양육행동 비교연구 - 유아어머니가 지각한 내용을 중심으로
- 영화 ‘위대한 개츠비’와 ‘시카고’에 나타난 1920년대 여성복 분석
-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논총 규정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