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적 문화상품으로서의 한옥민박시설의 활성화방안
이용수 97
- 영문명
- The Ways to Activate Private Lodging Hanoks Representative National Cultural Goods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박경옥(Park Kyoung-Ok) 배영화(Bae Young-Wha) 김소연(Kim So-Yon) 윤명희(Yoon Myung-Hee)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총』생활과학연구논총 제7권 2호, 115~136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12.0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ways to make Hanoks, Korean traditional houses, more preferred sites for private lodging, consequently to make them as national cultural goods. For the purpose, present private lodging Hanoks"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programs were studied, and the needs of tourists were also analyzed. The study surveyed 5 private lodging sites, whose managers were interviewed with questionnaires, and 180 tourists or others answered the questionnaire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1) Hanoks currently used as private lodging adopted several facilities in harmony with traditionality, so that not so much inconveniences were answered. 2) The cultural pride of the managers decided the quality of the facilities and services of private lodging Hanoks. 3) Tourists answered physical aspects, distance to urban area and quality of food as priorities when choosing their lodging. The classification of private lodging Hanoks according to their facilities and services is needed for tourist informatio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rograms along with personal services would make tourists visit more frequently. And for an active approach towards tourists from home or abroad, regional management bureaus and internet homepages would be helpful.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문헌고찰
Ⅳ. 결과 및 분석
Ⅴ. 결론 및 제어
참고문헌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문헌고찰
Ⅳ. 결과 및 분석
Ⅴ. 결론 및 제어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