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amily Function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s According to Parents" Marital Status
- 발행기관
- 한국가족학회
- 저자명
- 이경희(Kyeong-Hee Lee) 유영달(Young-Dal You)
- 간행물 정보
-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18집 제2호, 115~138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6.0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들이 함께 살고 있는 가족의 형태(친부모, 친모, 친부, 계부모)에 따른 가족기능과 심리적 안녕의 정도를 알고자 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부산에 있는 고등학교에 재학죽인 남녀 학생 1070명이다. 가족기능은 Beavers의 "Self-Report Family Inventory(SFI)Il"로 심리적 안녕은 Campbell의 ‘Index of Well-being’으로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동거부모형태 분포는 친부모와 동거하는 청소년이 940명(87.9%), 계부나 계모(계부모)와 동거하는 청소년이 23명(2.1%), 친부나 친모(한부모)와 동거하는 청소년이 101명(9.4%)이었다. 둘째,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체계유형은 건강가족이 32.6%, 중간범위가족이 48.3%, 경계선가족이 17.5%, 심각한 역기능가족이 1.6%이다. 셋째, 친부모가족과 친모가족의 청소년이 계부모가족의 청소년보다 자신의 가족을 더 건강하다고 지각하고 있었다. 넷째, 친부모와 친모와 동거하는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 점수가 계부모가족 및 친부가족의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 점수보다 높았고, 가족이 기능적일수록 심리적 안녕도 높다. 다섯째, 친부가족의 건강가족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이 특히 높다. 이는 청소년과 아버지와의 관계가 가족기능과 심리적 안녕에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amily function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s according to their parents" marital status. 1070 subjects of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filled out "Self-Report Family Inventory (SFI) Ⅱ" (Beavers & Hampson, 1990) and "Index of Well-being" (Campbell, 1976). Parents" marital statuses were categorized into "both biological parents family"(BBP) (87.9%), "biological parent-step parent family"(BPSP)(2.1%), "biological father only family"(BFO)"(4.0%), and "biological mother only family"(BMO)(5.4%). As to the family types of Beavers model, about a half of the subjects perceived their family as "midrange" (48.3%), a third as "healthy" (32.6%), 17.5% as "borderline", and 1.6% as "severely disturbed". The subjects from BBP and BMO are more likely to be classified as "healthy" and less as "disturbed", than those from BPSP and BFO. A similar result was found with the psychological wellbeing, which correlated positively with the level of family functioning. The highest psychological wellbeing was found with the subjects from "healthy" BFO. The results were discussed with regard to child rearing.
목차
한국어 초록
Ⅰ. 연구의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Ⅰ. 연구의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온라인 텍스트 데이터를 활용한 집밥의 인식 변화 연구: 코로나19를 중심으로
- 식품업체의 ESG 경영활동과 기업이미지 및 지속 이용의도와의 영향 관계 연구
- 얌빈 가루를 첨가한 연어스프레드의 품질특성: 혼합물 실험법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