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outh Korean students’ misusage of the Japanese honorifics: An analysis of the example sentence: My father went to the United States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어수정(Eo Soo-Jeong)
- 간행물 정보
- 『Foreign Languages Education』Vol.13 No.1, 387~40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2.0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South Korean students of Japanese have a gap between their knowledge and usage of Japanese honorifics, and to illustrate misusage of Japanese honorifics by the South Korean student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xample sentence, “My father went to the United States.” According to analysis of this paper, native Japanese speakers are influenced by both the UCHI-SOTO relation and the vertical relation of age when they refer to their father. But the students are influenced only by whether “father” is their father or other’s father. Furthermore, the students don’t necessarily recognize the rule in Japanese honorifics, that is, “Do not use the honorifics when you speak of your father to a person outside the family (SOTO).”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gives the following suggestive points to the teaching of Japanese honorifics. First, we have to teach that how to refer to “father” varies with the listener. Second, it is required to fully explain the concept of UCHI-SOTO and to make well-known the rule in Japanese honorifics, that is, “Do not use the honorifics when you speak of a person in your group to a person outside your group.”
목차
Abstract
Ⅰ. はじめに
Ⅱ. 先行硏究と本硏究の目的
Ⅲ. 調査の槪要
Ⅳ. 日本語と韓國語における敬語體系の相違
Ⅴ.結果と考察
Ⅵ. まとめ
Ⅶ. 日本語敎育への提案
Ⅷ.おわりに
參考文獻
저자소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회칙 외
- 한국 고등학생들의 영어 읽기 능력과 쓰기 능력 관계 연구: 영어 독해 일지 쓰기를 중심으로
- 의사소통 중심의 영어과 단원 목표의 개발
- Interest and Prior Knowledge in L2 Reading Comprehension
- Korean EFL Learners’ Acquisition of English Negatives and Yes-No Interrogatives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al Grammar
- Socioconstructivist Perspectives on Negotiation of Meaning in the Second Language Classroom
- 전자펜팔활동을 통한 초등학생들의 영어학습자자율성신장 연습
- Comparative Genre Analysis of English and Korean Advertisements: Corpus, Comparison and Culture
- TOEIC 테스트를 통하여 나타난 대학생의 영어 구사 능력 연구
- 이공대 학생 중심의 누리영어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 韓國人の日本語學習者の敬語に見られる誤用: 『父は米國に行きました』 を一例として
- 교수일지 작성을 통한 반성적 영어 교수 활동: 그 가능성과 반성의 초점
- Absence of Translation Pedagogy: What to Teach
- The Effect of Pronunciation Training on Korean Adult Learners’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English Vowels, /i/, /I/, /u/, and /Ω/
- Collaborative Learning in the ESL Writing Classroom
- Perceived Phonetic Dissimilarity of English /l/ and /r/ by Korean Learners of English
- 요청과 불평에서 나타난 언어 수준별 화용능력 발달 특징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 교양교육에서의 사고 개발 가능성: 영화 ‘미키17’과 봉준호감독의 인간 이해와 창작 철학을 중심으로
- 조직공정성이 유아교사의 조직몰입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의 직렬다중매개효과
- 사무량심에 기반한 유아기 부모 양육 경험의 해석현상학적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