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견갑골 측방향 촬영에서 견갑골 정측면상을 얻기 위한 환자의 회전각도에 관한 연구
이용수 33
- 영문명
- The Study of patient rotation angle to get the scapular true lateral image in scapular lateral projection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 저자명
- 박기봉(Ki-Bong Park) 전주섭(Ju-Seob Jeon) 강인희(In-Hyi Kang) 최남길(Nam-Kil Choi) 장영일(Young-Il Jang)
- 간행물 정보
- 『방사선기술과학』방사선기술과학 제28권 제3호, 203~209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9.0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 적 : 견갑골의 골절 유ㆍ무와 외상에 의한 탈구를 진단하는데 있어 견갑골의 정측면상의 영상을 얻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견갑골 측방향 촬영시 한국인 성인을 대상으로 견갑골의 정측 면상을 얻는데 가장 적합한 회전 각도를 알아보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 견갑골의 촬영을 위해 내원한 환자 30명(여 8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의 평균연령은 35.4세(15세부터 66세)였다. 수동각도기의 거상각도를 32°, 37°, 42°로 하여 전ㆍ후방향 촬영하였다. 영상의 평가는 전문가 5명이 내측연과 외측연의 완전겹침이 있는 영상은 4점, 내측연과 외측연이 불완전겹침이 있는 영상은 3점, 견갑골체 내측연과 외측연이 겹침이 없는 영상은 2점, 내측연과 외측연이 사방향으로 나타난 영상은 1점으로 4단계로 나누어 blind test를 하여 평가하였다.
결 과 : 평가한 각도별 평균점수는 32°가 1.53±0.39점, 37°가 3.83±0.15점, 42°가 2.17±0.43 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슴둘레가 100㎝이상인 군과 100㎝이하인 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p<0.05) 없었고, 남자와 여자 간에도 역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고찰 : 지금까지 견갑골 정측면상을 얻는데 적합한 환자의 회전각도에 관한 연구가 없었으나, 본 연구를 통해 검사측을 37°회전하며 검사측 상완골을 반대쪽으로 들며 촬영하는 것이 한국인 성인에서 견갑골의 정측면상을 얻는데 가장 적합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견갑골의 측방향 촬영을 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
True lateral scapular image was very important to diagnosis the scapular fracture and dislocation induced by traumatic injur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know the patient rotation angle to be showing the scapular true lateral in Korean.
Subjects and Materials
Thirty patients(22 men, 8 women, mean ages 53.4)with scapular pain, had supine anteroposterior projection taken with 32°, 37°, 42° trunk rotation angle changing the manual angulation material. Radiographs were evaluated independently by 5 experienced observers(1 orthopedics surgery specialist, 1 diagnostic radiology specialist, 3 radiological technologist) They assessed overlab of vertebral border and axillary border of scapular as follows; Totally overlapping of vertebral border and axillary border is 4, partially overlapping is 3, not overlapping is 2 and oblique location with two borders is 1. All observers scored using by PACS monitor.
Results
32° trunk rotation was scored 1.53±0.39, 37° trunk rotation was scored 3.83±0.15 and 42° trunk rotation was scored 2.17±0.43. There was no difference(p<0.05) between group of more than 100㎝ of the girth of the chest and group of less than 100㎝. Similarly, men and women group showed no difference(p<0.05) with trunk rotation statistically.
Conclusions
There was no result of trunk rotation angle to radiograph the true scapular lateral image up to date. This studies were summarized as follows; Adaptation of 37° trunk rotation was the best to show the true scapular lateral image in Korean. Our results were very useful to get the true scapular lateral images in clinic.
목차
국문요약
Ⅰ. 서 론
Ⅱ. 연구대상 및 실험기기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고찰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무증상 치밀 유방 여성에서 인공지능 기반 컴퓨터 보조 진단 장치의 유용성 연구
- 방사선치료 임상실습 환경에 따른 방사선(학)과 학생의 학습 효과 분석
- 딥러닝을 활용한 한국형 유방초음파 영상 정상-종괴 구분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