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Ouverture de la poétique de la prose : Enjeux des ≪Poémes-critiques≫ de Mallarmé
이용수 59
- 영문명
 - Ouverture de la poétique de la prose : Enjeux des ≪Poémes-critiques≫ de Mallarmé
 - 발행기관
 - 프랑스학회
 - 저자명
 - 조재룡(CHO Jae-Ryong)
 - 간행물 정보
 - 『프랑스학연구』제32권, 1~2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프랑스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5.0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말라르메의 《비평-시》에서 드러난 “산문”과 “시(시구)”에 관한 사유를 점검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는 그간 말라르메의 《비평-시》에 대한 평가 분석과 연구를 이해하고, 나아가 비판하는 지점에서 출발하여, 과연 말라르메의 작품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던 평자들의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주장처럼 말라르메의 《비평-시》에 담긴 사유가 전적으로 시구(vers)에 관한 승인과 선호를 지배적으로 표출하고 있는가 라는 물음에 이의를 제기하면서 진행될 것이다. 본 연구는 말라르메의 《비평-시》을 둘러싼 수용과 이해를 점검하는 과정에서 이와 관련되어 가장 중요한 이론적 고리를 형성했다고 판단된 발레리를 위시로 발생한 서양 전통의 이분법(시와 산문, 시구와 산문)의 취약한 이론적 고리가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또한 어떠한 한 위력을 발휘하는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취약한 고리를 가장 대표적으로 드러내는 것은 다름 아닌 산문의 개념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그 까닭은 18세기 이후 프랑스 문학사에서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산문의 개념이 전적으로 “부정성”을 통해서 연구되었기 때문에 발생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적인 개념들이 총체적이고 집약적으로 표출되는 것이 바로 말라르메의 《비평-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말라르메의 《비평-시》의 가치와 의의를 조명하기 위해서는 《비평-시》를 둘러싼 해석과 수용을 필히 점검해야하는 필연성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처럼 비록 난해한 가능성(可讀性 lisibilité) 자체로 인하여 오해의 여지를 남김에도 불구하고, 말라르메의 《비평-시》는 19세기 중 후반에 이르러 새로운 문제틀을 중심으로 탄생한 산문시와 자유시의 가치를 총체적으로 조망한 일종의 비평적 시도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부분은 말라르메가 《비평-시》에서 전개한 바 있는 “리듬”의 개념과 “시구”의 개념, “산문시”와 “자유시” 개념을 통해서 표출되며, 바로 이러한 개념 설정을 중심으로 말라르메의 시학은 정형시뿐만 아니라 산문의 시학 역시 제기하는(혹은 산문과 시학의 개념을 새롭게 설정하는) 중요한 시도로 간주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말라르메의 《비평-시》는 보들레르가 이론화하고 구체적인 적용을 바탕으로 선보인 산문시의 역사적 가치를 계승하는 한 축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이와 마찬가지로 19세기 후반에 이르러 본격적으로 등장한 자유시의 가치 또한 반영한 비판적 생산물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말라르메의 《비평-시》는 말라르메가 정형시를 시의 정체성으로 여기거나 율격과 도식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시구를 선호하기보다는 오히려 문학적 담화와 텍스트 자체의 특수성과 개인화(individuation) 과정에 가치를 두었다는 사실, 나아가 시구 vs 산문의 이분법적 도식에서 벗어난 새로운 “산문의 시학”을 창출하는 계기가 되었음을 드러내는 일종의 증거일 것이다.
                    영문 초록
목차
Problematique : Mistification de Mallarme
	                       
	                          Ⅰ. Primat du “Vers”
	                       
	                          Ⅱ. Vers l'inconnu de la prose
	                       
	                          Ⅲ. Pratique d'ecriture
	                       
	                          Conclusion
	                       
	                          참고문헌
	                       
	                          개요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프랑스학회 학칙 외
 - 드레퓌스 사건과 졸라의 글쓰기
 - 문학에서 영화로의 각색에 있어서의 서술의 문제
 - 미셸 푸코에 있어서 주체화와 실존의 미학
 - X, c'est Y 구조의 정의문énoncé définitoire 효과
 - 후광 효과를 중심으로 한 프랑스 명품 브랜드의 문화 브랜딩 양상 연구
 - 기업 이미지 전략의 비교 기호학적 연구: 한국과 프랑스 주요 기업을 중심으로
 - 장 지오노 문학에 나타난 행복의 모럴과 생태적 사유에 관한 연구 - 『진정한 부Les vraies richesses』를 중심으로
 - 질 들뢰즈의 ‘주름Pli’ 개념과 랜드스케이프 건축
 - 퀘벡 사회와 프랑스어
 - 모리스 세브 Maurice Scève의 델리 Délie의 미에 관한 연구
 - ≪신간도서안내≫『말로와 소설의 상징시학』 (부제 : 『왕도』새로 읽기) 김웅권 지음, 동문선, 2004.
 - Ouverture de la poétique de la prose : Enjeux des ≪Poémes-critiques≫ de Mallarmé
 - 라 브뤼예르의 『성격론』에 나타난 개인의 능력
 - La Chartreuse de Parme에 나타난 고립의 의미 연구
 - Une étude psychanalytique de La relation mère / fille dans le cas particulier de La Religieuse de Diderot : la symbiose féminine face à la loi du père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프랑스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프랑스어와문학분야 NEW
- 자크 타티 코미디의 단초로서의 <윌로 씨의 휴가> 고찰
 - 샤를 브라방의 <위험한 관계> : ‘서간체 영화’ 만들기 방식과 감독의 다큐멘터리적 시선 연구
 - 책의 즐거움 : 조르주 페렉의 책에 대한 물질적 관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