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Adjustment of Stepfamilies Using the Bronfenbrennner's Model
- 발행기관
- 한국가족학회
- 저자명
- 김효순(Hyo-Soon Kim)
- 간행물 정보
-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17집 제1호, 191~230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4.01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통계자료에 의하면 유자녀 재혼의 증가와 계모 가족보다도 계부 가족 및 복합 재혼 가족이라는 다양한 유형의 재혼 가족이 증가하고 잇어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재혼 가족은 많은 어려움을 지니고 있다고 알려져 있을 뿐 미국에서도 오랫동안 ‘드러나지 않는 인구(invisible population’)로 여겨져 왔듯이 우리사회에서는 아직도 재혼 가족의 삶과 적응에 관해 알려진 것이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혼 가족의 적응에 관한 기존의 문헌들을 중심으로 적응관련 요인들을 Bronfenbrener의 모형으로 정리하여 재혼 가족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을 설명해 주는 요인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해 보고자 한다. 더불어 서구에서 재혼가족에 대한 연구를 문제 지향적 관점에서 시작하여 점차 규범ㆍ적응적 관점으로 접근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연구 방법론상의 이슈도 점검해고자 한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재혼 가족연구를 위한 시각 형성은 물론 재혼 가족을 위한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정책적 접근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he literature research on the adjustment of stepfamilies. Rescentiy the rate of stepfamilies is growing rapidly as a part of family change in Korea.
Therefore we have to concern about factors affecting stepfamily's adjustment between stepparents and stepchildren so that we can make an intervention toward stepfamilies and prepare for remarriage programmand policies for stepfamilies. So as to find out adjustment factors, this study used Bronfenbrenner's person-process-social context of human development model.
목차
한글초록
Ⅰ. 서론
Ⅱ. 재혼 가족의 적응에 관한 이론적 검토
Ⅲ. 재혼 가족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온라인 텍스트 데이터를 활용한 집밥의 인식 변화 연구: 코로나19를 중심으로
- 식품업체의 ESG 경영활동과 기업이미지 및 지속 이용의도와의 영향 관계 연구
- 얌빈 가루를 첨가한 연어스프레드의 품질특성: 혼합물 실험법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