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tended Wait-time and Its Effect in ESL Class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Kilryoung Lee
- 간행물 정보
- 『Foreign Languages Education』Vol.11 No.1, 27~4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2.0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resent research combines two important factors, cultural influence on SLA and wait-time. The research investigates how multi-ethnic students react differently to extended wait-time as an instructional strategy in the ESL classroom. Som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production as influenced by manipulated wait-time. However, no research h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comparison of production after manipulated wait-time by ethnicity of students in the ESL classroom. It was hypothesized that when given extended wait-time, all students would increase students’ oral production. Especially, Asian students would increase the number of words to a higher degree than Non-Asians do. A multi-ethnic ESL classes were observed for quantitative findings, and their students and teachers were interviewed for qualitative one. It was found that oral production increased when the wait-time was increased. Unexpectedly, however, non-Asians produced more words to a higher degree than Asians did, as wait-time increased. It was interesting to find from the interview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students’ attitude towards wait-time. Some thought wait-time could cause more anxiety rather than comfort. This research will be significant in that the result coul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eaching English in multi-ethnic classrooms.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Ⅲ. Methodology
Ⅳ. Results and Discussions
Ⅴ.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회칙 외
- 학술지 논문 영문 초록의 담화 구조와 언어 특징:EAP 교육을 위한 탐색
- 노래를 통한 스페인어 리듬 학습 방안 연구
- 영어과 교육과정 기반의 설계
- 대학 영어성취도와 고교 영어성취도의 상관관계
- 영화 CD-ROM이 영어 학습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 The Relation of Writing Ability to Instances of “Plagiarism” in Korean EFL University Students’Summary Writings
- 한국 중학교 6차 및 7차 교육과정 영어교과서의 코퍼스 언어학적 어휘 비교 분석
- 비즈니스 영문 서신에 대한 원어민 분석의 기초 연구:한국인 비서가 작성한 긍정적 내용의 서신을 중심으로
-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영역 읽기 난이도 예측 모형 개발
- Extended Wait-time and Its Effect in ESL Class
-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과 지구어로서의 영어교육
- 중국어 술어동사에 대응되는 한국어의 어미활용
- 초등학생의 한국어 음운처리 기술과 영어 어휘력 및 어휘학습과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의 공학 도구를 활용한 수학적 모델링 사례 분석: 활동 이론을 중심으로
- 한국, 호주, 미국 초등 수학 교과서 과제의 비구조성 비교 연구: 수와 연산 영역을 중심으로
- 미국 상위 50개 대학 수학과의 학부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