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개정 정당법의 검토-지구당과 당내경선제의 보완을 중심으로-
이용수 195
- 영문명
- A Study on the Amendment Law of Political Party
- 발행기관
- 한국헌법학회
- 저자명
- 박명호(Park Myong-Ho)
- 간행물 정보
- 『헌법학연구』憲法學硏究 第10卷 第2號, 43~6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6.0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최근에 개정된 정당법의 주요내용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검토하여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째, 지구당의 폐지는 고비용의 정치구조를 악화 시킬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선거운동을 위한 조직적 기반이 필요한 현실에서 제도로서의 지구당을 단순히 폐지한다는 것은 유사기구 의 난립과 후보들 간의 과당경쟁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풀뿌리 민주주의의 기본단위인 지구당 제도를 철폐하기 보다는 지구당 운영의 민주화를 통해 개인화된 지구당 조직을 공유화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정당에서 나름의 기준과 원칙에 따라 공직후보자의 추천방식을 결정하도록 하는 원칙 하에서 당내경선방식을 채택하는 경우이던 아니던 선거일 6개월 전부터 선거일 1개월 전까지는 최소한 지역구후보자를 선정하도록 명문화 하여 정치일정의 제도화를 이루는 것이 상향식 공천제도의 취지를 확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도적 정합성의 측면에서 정당법, 선거법 그 리고 정치자금법에 대한 복합적 고려가 이뤄져야 정치개혁의 목표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essay reviews the law regarding political parties which was revised early this year. First, the elimination of district-level party branch is likely to over-heated competition among possible candidates armed with underground private organiza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mocratize district-level party branch operation and share the grass-root party official organization among possible can야dates. Second, we are supposed to consider simultaneously acts regarding electoral systems, party operations and political funds in order to accomplish political reform.
목차
Ⅰ. 서언
Ⅱ. 개정 정당법의 주요내용
Ⅲ. 개정 정당법의 평가
Ⅳ. 결어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개정 정당법의 검토-지구당과 당내경선제의 보완을 중심으로-
- 姦通罪 廢止 與否에 관한 憲法的ㆍ刑事法的 考察
- 議員의 意思에 反하는 국회 常任委員會 交替의 違憲性-2002 헌라 1사건에 대한 헌법재판소 결정과 관련하여-
- 프라이버시 보호와 진료정보
- 분리이론에 의한 재산권체계 및 그 비판에 대한 고찰
- 상징적 표현행위-도발적 언사를 중심으로-
- 自己情報統制權에 관한 考察
- 한국인은 누구인가?-북한과 재외동포의 국적문제
- 헌법문제로서 동성간 혼인-동반공동체(시민결합)-Goodridge판결(Massachusetts주 대법원 2003.11.18)과 BVerfGE (1 BvF 1/01 v. 2002.7.17)에 대한 평석을 중심으로
- 現行 放送法의 問題點과 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 改正 國會議員選擧法制 管見
- 개정 정치자금법의 특징적 내용과 평가
- 議員立法의 문제점
- 상징적 표현과 국기소각행위
- [번역]라이히 의회의 해산
- 전자민주주의의 도래와 직접민주주의의 도입의 검토
- 생명권과 사형제도-사형제도 존치론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