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술과 수업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실태 조사 연구

이용수  383

영문명
A Survey on the Physical Environment of Art Classroom in Schools
발행기관
한국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이성도(Yi Sung-Do) 김혜숙(Kim Hye-Sook)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논총』미술교육논총 제17권, 308~361쪽, 전체 54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3.12.01
9,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미술과 교육과정이 개정될 때마다 미술교육의 목표와 성격, 내용체계 등이 새롭게 바뀌고 그에 맞게 초등·중등 미술교과서가 집필되었다. 초등·중등 미술교과서에는 동서고금의 미술들이 위계성, 적정성을 토대로 학년에 맞게 적절한 학습단원활동들로 소개되고 다뤄지고 있다. 표현활동으로는 평면, 입체 등으로 나눠지지만 세부적으로 보면 회화, 조소, 판화, 디자인, 공예, 서예 등으로 분류된다. 초등·중등교사들이 이런 학습단원의 활동들을 학생들에게 적절하게 교수-학습하기 위해서는 그에 준한 물리적 환경이 시설·설비되어야 하고 필요한 교구들이 갖춰져야 한다. 이 연구는 초등, 중등 교육현장에서 미술수업의 물리적 환경이 어느 정도 갖추어져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설문지 조사를 토대로 학교규모별, 학교급별, 지역별의 교육환경 및 교구비치, 초등·중등 교사들이 보는 미술수업의 문제점과 제언 등 미술수업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실태를 조사한 것이다. 주요어 : 미술실, 일반교실, 교구비치, 시설설비 및 기자재

영문 초록

When the art curricular are need a change by government, the whole art curricular's purposes, characters and contents are also changed newly.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art textbooks are also rewritten totally based on the new art curricular. Elementary and secondary art textbooks are usually covered with east and west art works and developed with the lesson units carefully to be applied to the school graders in a proper way. School art activities are usually composed of two-dimensional and three dimensional art works including painting, sculpture, print, design, craft and calligraphy. In order to affectively teach a lesson unit of these areas for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the art classroom's physical environments must be provided with all the necessary art equipments, facilities and teaching tools. This study is focused mainly on how elementary and secondary art classrooms' physical environments have provided the necessary art equipments, facilities and teaching tools in a nation-wide. We used a questionnaire for the survey. The questions include physical classroom's environments;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hold art classroom equipments, the problem issues and suggestions. 517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from all over the country. Key words : art classroom's physical environment, equipments, facilities

목차

1. 서론
2. 미술과 수업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실태
3. 미술과 수업에 있어 물리적 환경이 갖는 제 문제
4. 초등·중등 미술과 수업의 질적 향상을 위한 제언
5. 결론
참고문헌
<부록>미술과 수업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실태조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성도(Yi Sung-Do),김혜숙(Kim Hye-Sook). (2003).미술과 수업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실태 조사 연구. 미술교육논총, 17 , 308-361

MLA

이성도(Yi Sung-Do),김혜숙(Kim Hye-Sook). "미술과 수업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실태 조사 연구." 미술교육논총, 17.(2003): 308-3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