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商賈船 運營에 관한 一考察
이용수 21
- 영문명
- A Study on the Management Status of Sanggoson
- 발행기관
- 군산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 저자명
- 김수관(Kim Soo-Kwan)
- 간행물 정보
- 『군산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연구논문집』제2집, 611~62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해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4.12.02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olidate the management status of Saggoson in the Choson period by literature research, and examined latest status by field investigation.
During the Choson period, there were fish distributors such as Saggoson and Kakju. Saggosonn took charge of fish distribution from the fishing ground to the land, and handed over the fish to Kakju who sold over them to the whole country.
This distibution system of fish was started from and adapted to the yellow - corvenia fishery of Westhern Sea. There were two resons for this.
One was that these fish were caught much from vast. fishing grounds and had a very strong demand, for which professional distributors were needed. The ther was that because fishermen
had very limited capital, they had to supply the money for fish production from capitalists like Kakju whom they agreed to sell fish directly to.
By this time, it Was thought that the fish distribution system for the Westhern Sea fishery was determined by the background and tradition.
Meanwile, Saggoson, which has been working for a long time in Westhern Sea, is placed in changing circumstances. That is, small scale fishery Saggoson deals with will be getting fewer,
because the big scale reclamation projects in this area threatens the fishery's existence. Also, Saggoson, presently, might be forced to become more efficient in its distribution in the future.
In this situation, the management status of Saggoson in the past and present needs to be consolidated and investigated through this study.
목차
1. 처음말
2. 상고선의 유래
3. 조선시대에 있어서의 운영상황
4. 일본인에 의한 운영상황
5. 오늘날에 있어서의 운영상황
6. 맺는 말
참고문헌
Summary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慣習的 마아케팅經路에 있어서 構成員의 相互關係에 관한 硏究
- GMDSS 導入을 위한 海上 通信의 資格 制度 改善에 관한 硏究
- 250C에서 2段階應力을 받는 構造用鋼의 疲勞强度에 관한 硏究
- 서해 중형기선저인망 어업의 Marketing Mix에 관한 연구
- 一貫貨物積載板化의 體系化에 關한 硏究
- 專門大學 漁業科 敎育課程의 發展的 改正에 관한 硏究
- 논문투고규정
- 범게, Orithyia sinica(Linnaeus)의 성장과 탈피에 관한 연구
- 群山地域에서의 GPS測位精度 解析
- 단순한 시각적 하중에 의한 아다마르 영상부호화
- 우리나라 김養殖業의 發祥과 發達過程 1. 朝鮮王朝末葉까지의 김養殖史
- 조개類에 寄生하는 吸蟲類에 關한 硏究 Ⅴ. 동죽, 가무락조개 및 맛조개에서 檢出되는 *口吸蟲類의 幼蟲에 對하여
- 송사리에 있어서 사염화탄소의 독성에 관한 연구: LC50값 및 조직병리학적 변화
- 韓國産메기(Silurus asotus)의 疾病에 關한 연구 Aeromonas hydrophila에 의한 皮膚 潰瘍病
- 配當政策의 規範的 模型에 관한 硏究
- TRANSMISSION NOISE ELIMINATIONS IN BDPCM IMAGE
- 東京灣産 문치가자미의 年齡과 成長
- 동전점 전기영동에 의한 서해산 해산어의 근형단백질의 전기영동에 관한 연구
- 공구마멸에 따른 절삭력의 RMS 특성
- 鹽水投下에 따른 鹽水塊 擧動에 關한 硏究
- 高壓下의 定積 豫混合氣燃燒에 있어서 煤煙生成에 關한 硏究
- Bilevel Quantization using Dithering and Hopfield theory
- Methylene Blue법에 의한 수중 계면활성제 분석의 정확도 고찰
- 商賈船 運營에 관한 一考察
- 연어 세포주에서의 전염성 췌장괴사 바이러스의 감영 증상에 관한 연구
- 內水面 가두리 網에 着生하는 총담이끼벌레(Bryozoa, Lophopodella carteri)의 生態와 驅除에 關한 硏究
- 東京灣におけるシャコの分布と小型底*網漁場との關係
- 韓國産 짱뚱어屬(Boleophthalmus)近似種의 分類에 關한 批判的 硏究
- 한국산 메기(Silurus asotus)의 질병에 관한 연구 Ⅱ. 비브리오병에 관하여
- 신호 몽롱화 예측부호화의 잡음 천이 특성
- 영상의 직선 성분 추출에 관한 연구
-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육의 사후 조기 변화 3. 치사 방법이 ATP 관련 물질과 유산 함량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 BDPCM에서 메디안 필터링에 의한 잡음 제거
- 규칙적인 水位變化시 堤體內의 自由水面
- 護岸堤의 浸透擧動
- 凍結点 附近 貯臟에 의한 牛肉의 鮮度 維持 效果
- 폭기식 잠수여상을 이용한 고밀도 양식장의 순환수 처리 1. 해수중의 암모니아 제거 특성
- 반폐쇄 순환여과식 넙치양식장의 수질제어에 관한 연구
- 海水中에서 油處理劑 및 油處理劑/Bunker-C油 混合物의 生分解度와 溶存酸素消費에 관한 硏究(Ⅰ) - 유처리제의 생분해도와 용존산소소비 -
- 東京滿山 문치가자미 Limanda yokohamae(GUNTHER)의 資源量 變動의 解析
- 有機絶緣物과 半導電性돌기 사이의 트리 現象에 關한 硏究
- 海域에서 土砂投下에 따른 濁水塊 擧動에 關한 硏究
- 쌍선형변환법을 이용한 서어보 제어계 설계
- 바이어스磁界와 高周波回轉磁界에 의한 逆轉磁界配位 形成
- 흑백 정지 영상의 시각 하중 DCT 부호화
- 16비트 마이크로 컴퓨터를 사용한 FFT 연산속도 향상에 관한 연구
- 韓國産 말뚝망둥어屬(Periophthalmus) 魚類의 形態的 特徵
- 水産業에 있어서 社會生態的 마아케팅에 관한 硏究
- 常溫에서 2段階應力을 받는 SM45C材의 疲勞强度에 관한 硏究
- 噴射式 桁網의 開發에 관한 硏究 - Ⅰ
- IR 스펙트럼 분석에 의한 에폭시의 절연특성
- 西海沿岸의 養殖場 環境調査 3. 扶安 백합 養殖場 環境
- 小型 高速 디젤機關의 排氣 排出物에 미치는 排氣 再循環率의 影響에 관한 實驗的 硏究
- 墳射式 개량조개 桁網의 開發에 關한 硏究
- 全羅北道의 水産敎育에 관한 史的 考察 - 中等敎育機關을 中心으로 -
- 噴射式 桁網의 開發에 관한 硏究 - Ⅱ
- 군산 연안 어류의 군집 변동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해양학분야 BEST
- 흑산도 연안에서 통발에 어획된 어류 종조성 및 연변동
- 흑산도 연안에서 기선저인망에 어획되는 어류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
- 국내 연안 서식 어류 위내용물의 DNA-metabarcoding 분석
농수해양 > 해양학분야 NEW
-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Image Resizing Algorithms for CNN-Based Fish Disease Classification
- 수산과학연구소 논문집 제33권 제2호 목차
- 2016년부터 2018년까지의 안정만 주변 해양환경 특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