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Nursing Studies about Urinary Incontinence in Korea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 저자명
- 권영숙(Kwon Young Sook) 김태희(Kim Tae Hee)
- 간행물 정보
- 『간호와 보건과학』제8권 제1호, 1~1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2.0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of research and to suggest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on urinary incontinence in Korea. Method : Sixty nursing researches conducted between 1993 and 2000 were analysed. The standard of analysis was degree theses, the year of publication, research design, measurement instruments, prevalence, intervention of experimental research and theme of qualitative research. Result : There were 29 theses and 31 articles published on nursing journals. There were 18 experimental researches, 40 nonexperimental researches and 2 qualitative researches. The scale that was the most used in researches was Hendrickon's situation scale of urinary incontinence, followed by Jackson's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frequency of urinary incontinence, maximum vaginal contraction pressure, duration of pelvic muscle contraction. The prevalence of urinary incontinence was 10.1∼85.0%. The age of subjects in survey
ranged distributed from 20 to 94 and the number of subject ranged from 60 to 3,372. The major interventions for experimental researches included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electrostimulation of pelvic floor, prompted voiding therapy,
moxibustion, urinary incontinence management program which provides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bladder training and education. The theme of qualitative research was experience of urinary incontinence. Conclusion : It is necessary to study prevalence of urinary incontinence repeatedly for reliable results, develop reliable and variable measurements of urinary incontinence, survey change of urinary incontinence status after nursing intervention and develop self management program of urinary incontinence.
목차
서 론
문헌고찰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 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질아동의 삶의 질에 대한 부모의 인식
- 치료적 접촉에 관한 연구
- 간호대학생의 병원감염 예방행위에 대한 인지도와 실천도 - 대구ㆍ경북을 중심으로 -
- 만성 정신지체자의 가정간호 사례관리연구
- 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의 시간경과에 따른 수면의 변화양상
- A Critical Literature Review: The Transition from In-Home Care to Institutional Care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the US
- 노인의 급성 혼돈에 관한 고찰
- 손 반사요법이 방사선 치료를 받는 암환자의 피로 및 정서상태에 미치는 영향
- 정신과적 문제를 가진 대상자의 사례관리시 간호진단 이용분석
- 일반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연구
- 간호학과 교과과정 분석
- 생행동 간호연구(Biobehavioral nursing research) 분석 - 대한간호학회지를 중심으로 -
- 관절염환자 간호의 질평가 도구 개발
- 요실금과 관련된 국내 간호연구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보건복지계열 대학생의 직업윤리의식과 사회적 책임이 정신질환자에 대한 옹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Factors influencing Handgrip Strength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 SBAR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이 아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명확성, 의사소통 자신감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 면역항암제 치료 중인 암환자의 지지적 간호 요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