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reedom of Speech in Classroom
- 발행기관
- 한국헌법학회
- 저자명
- 송요원(Song Yo-Won)
- 간행물 정보
- 『헌법학연구』憲法學硏究 第9卷 第4號, 315~350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12.01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US Supreme Court acknowledges that teachers have academic freedom - freedom of teaching - in the classroom to some degree, but lower courts have refrained from establishing precise legal principles in this field. Rather, controversies have been resolved on a case- by-case basis, involving a delicate balancing of teacher' interests in academic freedom against school boards' interests in assuring appropriate instructional programs and efficient school operations.
Every teacher in public schools has the right to teach what is based on the curriculum. However, it doesn't mean that teachers have the constitutional right to make educational contents at their disposal, which otherwise might possibly have teachers fall into mistakes to deliver viewpoints affected by individual or social prejudices as to controversial topics. Therefore the provisions of Article 10 of the US Federal Constitution require that states shall have the educational right and may delegate it to the school board or district. So school board or districts have the basic authority to establish uniform curriculums including controlling over teachers. But this authority must be exercised fairly and reasonably.
Boring, one of the most competent teachers, has promoted many students to higher schools teaching plays, won many awards and had many students got many prizes for good performances. Although the play was performed with the permission of the principal, he was punished to move to another school for parents' complaints. However, although the court should have dealt with this issue on basis of the essential natures of education, the majority made a superficial approach to it, mentioning that the educational right and authority belongs to the school board.
These days US tries to have every student reach a certain academic level (No Children Left Behind), ensuring teachers' active participation. This case must have made a wrong decision adversely affecting the education, by forcing teachers to shrink and pose passive stances when they teach. In conclusion, the Federal Supreme Court shouldn't avoid intervening in the educational problems about which it has traditionally respected the autonomy of educational institutions. Instead, it should express actively its opinions based on the natures of education.
목차
1. 서론
2. 언론의 자유로부터 학문의 자유
3. 교육과정 결정권
4. Boring 사건을 중심으로 본 학문-교육(수)-의 자유 논쟁
5. Boring 사건에 대한 Harvard Law Review의 판례 평석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간사
- 韓美相互防衛條約의 戰時作戰統制權 移讓의 違憲性
- 원격대학 관련 법제 국제비교
- 청소년의 성보호와 신상공개제도: 청소년성범죄자 신상공개의 헌법합치여부를 중심으로
- 원격대학 관련 법령 정비 방안(2): 평생교육법과 고등교육법의 관련 조항 통합 방안을 중심으로
- 미국 낙태법상의 부모동의요건과 사법적 우회절차
- 프랑스의 옴부즈만제도에 관한 연구
- 專門家의 用役提供과 辯護士法上 報酬規定의 問題點
- 司法權과 國民統制
- 신상공개제도 합헌결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 2002헌가14를 중심으로
- 교육정보화 추진에 따른 관련 입법 정책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미국 민영교도소에 대한 연방헌법 적용논의
- ‘客觀的 價値秩序’로서의 基本權 理解의 問題
- 교실에서의 언론(학문)의 자유: Boring 사건을 중심으로
- 반론권제도와 그 개선방안
- 칼 슈미트와 보수혁명: 비체계적 고찰
- 북한의 헌법변화와 경제변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 디지털포렌식 절차에서 음란물 디지털 증거의 관련성과 문제점 - 대법원 2023도11395 판결을 중심으로
- 미성년 성폭력 피해자 진술분석 면담 영상녹화물의 증거능력에 관한 연구 - 미국의 대면권과 전문법칙 판례 변화를 중심으로
- ‘수사와 기소 분리’ 법률안에 대한 논의와 대안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