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egislative Reform of The Right of Reply
- 발행기관
- 한국헌법학회
- 저자명
- 유일상(Ryu Il-Sang)
- 간행물 정보
- 『헌법학연구』憲法學硏究 第9卷 第4號, 271~314쪽, 전체 44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12.01
8,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policy guidelines how to settle down the right of reply efficiently. The guidelines for the right of reply should be based on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Korean constitution and relevant Acts. The right of reply harmonizes the press freedom and privacy protection at the point that individuals express more speech through the related mass media.
In Korea, the right of reply was adopted by the name of claim for rectification reporting under the Basic Press Act in the 5th Republic. After the abrogation of the Act in 1987, the clause was succeeded to the Registration of Periodicals Act and the Broadcasting Act. Now, the newly introduced rectification reporting system should take the arbitration process since 1995, while the old system should request compulsory arbitration for the report of reply. Press Arbitration Commission that is evaluated as some ambiguous institution internationally takes the central role for this process. It may look like that the journalism is not regulated by court but by the semi-governmental organization that is sponsored by Broadcasting Development Fund raised by Korean Broadcasting Commission. However, the commission regulates actually the freedom of the press and the speech indirectly by the members appointed by the Minister of Culture and Sightseeing.
According to the democratic participant normative theory, it is believed that free press and the equal opportunity will guarantee personal happiness when mass media promote to exchange one's roles between communicator and communicatee frequently. The conclusions of this paper IS induced according to the normative logical analysis.
First, press and the broadcasting media should be allowed to exercise the right of reply separately.
Second, the present right of reply that can restrain the freedom of journalism should be considered again whether it is constitutional.
Third, the present Press Arbitration Commission should be reformed not to restrict citizen's right to know and should allow the self regulation of journalist to guarantee the free flow.
Forth, in order to minimize suffering injury from published news story the period of prescription should be extended period for the excercise right of reply and rectification, but shortened for the publishing reply and rectification of original news story.
목차
1. 머리말
2. 반론권의 현대적 내용
3. 우리나라의 반론권 제도와 보도피해의 구제실태
4. 결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간사
- 韓美相互防衛條約의 戰時作戰統制權 移讓의 違憲性
- 원격대학 관련 법제 국제비교
- 청소년의 성보호와 신상공개제도: 청소년성범죄자 신상공개의 헌법합치여부를 중심으로
- 원격대학 관련 법령 정비 방안(2): 평생교육법과 고등교육법의 관련 조항 통합 방안을 중심으로
- 미국 낙태법상의 부모동의요건과 사법적 우회절차
- 프랑스의 옴부즈만제도에 관한 연구
- 專門家의 用役提供과 辯護士法上 報酬規定의 問題點
- 司法權과 國民統制
- 신상공개제도 합헌결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 2002헌가14를 중심으로
- 교육정보화 추진에 따른 관련 입법 정책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미국 민영교도소에 대한 연방헌법 적용논의
- ‘客觀的 價値秩序’로서의 基本權 理解의 問題
- 교실에서의 언론(학문)의 자유: Boring 사건을 중심으로
- 반론권제도와 그 개선방안
- 칼 슈미트와 보수혁명: 비체계적 고찰
- 북한의 헌법변화와 경제변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 디지털포렌식 절차에서 음란물 디지털 증거의 관련성과 문제점 - 대법원 2023도11395 판결을 중심으로
- 미성년 성폭력 피해자 진술분석 면담 영상녹화물의 증거능력에 관한 연구 - 미국의 대면권과 전문법칙 판례 변화를 중심으로
- ‘수사와 기소 분리’ 법률안에 대한 논의와 대안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