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Quality of life of Hemodialysis Patients and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 저자명
- 양혜주(Yang Hae Ju)
- 간행물 정보
- 『간호와 보건과학』제2권 제1호, 91~10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8.02.0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descriptive study measured the quality of life for hemodialysis patients and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as an attempt to give nurses basic data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of hemodialysis patients and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The research design was a descriptive study and the data were obtained by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These data were collected from 50 hemodialysis patients undergoing treatment in one university hospitals and 50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living in Taegu city and kyeung Sang Book Do by direct obtaining method from Octover. 1, to October, 31,1997.
Data analysis was done by the SAS computer program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d Cronbach-a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s.
1. The item mean score for quality of life for total subject was 3.03. For six subscales in the quality of life scale, the mean scores of subscales were in order of the highest 3.25 for family relationship and the second score 3.16 for emotional state, lower scored subscales were physicial state (2.95) and economic state(2.96).
2. The item mean score for quality of life for hemodialysis patient was 2.98. For six subscales in the quality of life scale, the mean scores of subscale were in order of the hightest 3.20 for family relationship and relation of neighbors, the lowest scored subscale was physical state 2.80.
3. The item mean score for quality of life for peritoneal dialysis patient was 3.13. For six subscales in the quality of life scale, the mean scores of subscale were in order of the highest 3.30 for family relationship and reltion of neighbors, the lowest scored subscale was economic state 3.03
4. The score of quality of life for Peritoneal dialysis patient was higher than the score of quality of life for hemodialtsis patient(t=-4.20, p=0.0001).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quality of life of total subject was how. The quality of life of hemodialysis patient was lower than that of peritoneal dialysis patient. Althouhg chronic disease affect to quality of life, an adequate nursing intervention will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3. 연구방법
4. 연구 결과
5. 논의
6.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브레즐튼 신생아 행동평가법(Brazelton Neonatal Behavioral Assessment Scale)에 관한 소개와 이의 임상적용
- 일개 대학병원 입원환자가 지각한 간호사 돌봄행위의 중요도
- 대구 경북지역주민의 지역사회 정신보건에 대한 견해 조사 연구
- 가정폭력 예방 대책 및 간호 중재
- 노인의 성과 성기능장애에 대한 고찰
- 발간사
- 초등학생의 성태도와 성폭력예방에 대한 교육의 효과
- 간질의 자기관리
- 수유형태에 따른 산욕초기 초산모의 어머니로서의 정체감 형성정도 비교
- 혈액투석 환자와 복막투석 환자의 삶과 질
- 항암제 정맥주입관련 통증과 불편감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보건복지계열 대학생의 직업윤리의식과 사회적 책임이 정신질환자에 대한 옹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생산직 근로자의 수면시간이 심혈관질환 위험에 미치는 영향: 제8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20년도) 기반으로
-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인간중심돌봄 간의 관계에서 소진과 공감역량의 매개효과
- 병원간호사가 인식하는 긍정간호조직문화, 잡크래프팅, 직무열의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