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Conversational Learning with Teacher's Divergent Questions on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Painting Expression Capabilities
- 발행기관
-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김양숙(Kim Yang-Sook) 이미숙(Lee Mi-Sook)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집』제24권 제1호, 83~10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2.0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conversational learning with teacher's divergent questions on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painting expression cap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20 in experimental group and 20 in control group) children with 5-year-old in one kindergarten of Kimpo City. This study used the modified Painting Expression Capabilities Evaluation Criteria used by Geum-Seon Lee (1999). The painting expression capabilities of children were scaled in six areas (line, shape, color, content, dynamism, and creativity).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experienced conversational learning with teacher's divergent questions showed better painting expression capabilities (line, shape, color, content, dynamism, and creativity) than those who belonged to the control group. Therefore, teachers need to make the most of conversational learning with divergent questions in children's educational fields to improve their painting expression capabilitie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관련연구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부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규정 외
- 미국의 일-가족 균형의 발달과 관련주체별 지원에 관한 연구
- 패션 마케팅과 감성
- 가톨릭 유아교육 기관의 창조 질서교육 현황 - 하느님·인간·자연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
- 밀가루 분산액의 물리적 성질에 관한 연구
- 제품 관여도 및 브랜드 사전 인지 여부에 따른 광고효과 분석
- 유야교사의 자아개념과 직무 스트레스 및 직무 만족도와의 관계
-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 자모의 학교교육 참여와 자아 존중감 및 자녀양육태도와의 관계
- 가톨릭 유아교육 기관의 원장과 교사의 직무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교사의 학산적 발문이 있는 대화학습이 유아의 그림 표현능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이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과 학습 몰입에 미치는 효과: 패션디자인학과 SW융합 수업을 중심으로
- 기혼근로자의 부부 공평성 인식이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과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
- 거주지역 및 주택유형에 따른 미취학아동가구의 주거환경만족도 차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