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두면 쓸데 있는 유쾌한 상식사전: 일상생활 편 (개정판)
2025년 09월 09일 출간
국내도서 : 2025년 08월 10일 출간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ePUB (34.94MB)
- ISBN 9791192959580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20만 독자들의 사랑을 받은 《알아두면 쓸데 있는 유쾌한 상식사전》시리즈 전체를 쓴 저자 조홍석은, tvN의 인기 프로그램 ‘유퀴즈온더블럭’에서 시사ㆍ상식 분야 퀴즈를 담당하는 1기 자문위원으로 활약했으며, 99%의 사람들이 의심 없이 믿고 있는 잘못된 상식, 즉 가리지날에 의문을 품고, 지식의 원천을 찾아내 반전의 내용을 전해줌으로써, 수많은 사람들로부터 한국형 지식 큐레이터, ‘한국의 빌 브라이슨’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모두가 ‘지퍼(Zipper)’라고 알고 있는 지퍼의 원래 이름은 ‘패스너(fastener)’였으며, 현재 여성들의 섹시 속옷이라고 알려진 가터벨트는 원래 남성용으로, 세계적 철학자 칸트의 발명품이다. 또 애니메이션 영화 ‘알라딘’에서 주인공 알라딘은 원래 중국 사람이며, 근대 올림픽의 창시자는 프랑스 쿠베르탱 남작이 아니라 영국인 윌리엄 브룩스 박사였다. 수영에서 우리가 알고 있는 ‘자유형’은 사실 크롤 영법(Crawl Stroke)이고, 과일 키위는 남중국에서 자생하던 과일로 본래 이름이 ‘차이니즈 구스베리(Chinese Gooseberry)’였으며, 스코틀랜드에서 남녀 모두가 즐겨 입는 체크무늬 치마, 킬트는 사실 스코틀랜드 전통 의상이 아니라는 것 등, 수많은 사람들이 상식으로 알고 있는 지식의 반전 스토리를 만날 수 있다.
2011년 1월부터 약 15년간 정기적으로, 블로그 독자, 동호회 회원, 회사 동료, 고객 등 약 4만여 명에 이르는 사람들에게 콘텐츠를 제공해오면서 수많은 호평을 받은 ‘흙 속의 진주’ 같은 내용만을 다듬어 엮었고, 저자 특유의 재치 넘치는 스토리텔링식 설명과 유쾌한 상상력으로 구성한 가상 대화체가 책의 재미를 더한다.
1부. 의생활
01. 정장의 비밀
02. 영원한 라이벌, 단추와 지퍼
03. 바지와 치마
04. 만들어진 민족의상
2부. 식생활
01. 식사의 철학
02. 쌀과 밀의 비밀
03. 한국인은 밥심이지
04. 알고 먹자, 옥수수
05. 떡볶이의 역사를 아십니까?
06. 성공한 우리나라 퓨전요리
07. 일본 퓨전요리를 알아봅시다
08. 키위와 키위새
09. 알고 마시자, 커피
3부. 주생활
01. 산타는 왜 굴뚝으로 오나요?
02. 산타 할배는 대체 누구세요?
03. 빙하기와 유목민
04. 우리 할매는 아마존 여전사
05. 금도끼 은도끼
06. 알라딘은 어느 나라 사람이게요?
07. 그러면 신데렐라는 어느 나라 사람일까요?
08. 건강한 주생활을 위하여~!
4부. 스포츠
01. 근대올림픽 창시자는 누구?
02. 대한민국의 올림픽 도전기
03. 컬링과 공양미 300석
04. 월드컵 유니폼 색깔이 두 가지인 이유
05. 한국 축구 월드컵 도전사
06. 롯데 자이언츠가 부산으로 간 까닭은?
07. 수영, 자유형이란 영법은 없다
참고문헌
사실 현재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은 지나치게 전문화되어 각자 전문분야는 잘 알지만 전체를 통찰하는 거대 담론이 사라지다 보니 자기의 입장에서 이야기할 뿐 타인의 시각이나 입장을 이해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기도 합니다. 결국 이 세상 학문은 서로 연관되어 있고 의외의 곳에서 서로 만나기도 하는데 말이죠.
숱한 독서와 오랜 고민, 실제 사회생활에서 얻은 흥미 있는 지식을 모으고 나름대로 정리해 지난 15년간 여러 지인들과 나누었는데, 많은 분들의 격려에 힘입어 이제 책으로 출간해 많은 시민들과 여러 지식의 원천을 함께 찾아 떠나보고자 합니다.
- p6. 들어가며
이런 단추 자랑에 대한 유명한 일화가 하나 있습니다.
1520년 프랑스의 르네상스 군주, 프랑수아1세가 프랑스 칼레 평원에 도착한 영국왕 헨리8세를 만나러 갈 때, 검은 벨벳 옷에 1만 3600개의 금단추를 달아 프랑스의 부를 자랑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불과 60여 년 전인 1453년까지 백년전쟁을 벌인 두 나라 임금이 왜 만났느냐면, 당시 프랑스가 지금의 독일, 오스트리아, 스페인, 체코, 네덜란드, 벨기에 지역을 장악한 신성로마제국과 이탈리아 북부 땅을 놓고 27년 전쟁을 벌이고 있었거든요. 프랑스로서는 속국이나 마찬가지인 밀라노공국마저 뺏기면 완전 고립되는 상황! 즉, 쉽게 말해 서유럽에서 영국과 프랑스를 제외한 전 지역이 합스부르크 왕가에 떨어지게 되는 지경인지라, 60년 전까지 싸우던 두 나라가 본의 아니게 화해를 하고 공동 전선을 펼치기로 약속함에 따라 영국 왕이 친히 군대를 이끌고 프랑스 편에 서서 이탈리아 북부 영토 전쟁에 참전하려고 한 거지요.
그런데 족보상 합스부르크 신성로마제국의 황제 카를5세에게 프랑스 왕 프랑수아1세는 매형, 영국 왕 헨리8세는 이모부였다는 거. 이거 완전 우리나라 아침 드라마 같이 출생의 비밀로 꼬인 상황…….
그런 중요한 자리였고, 영국 왕이 친히 프랑스까지 온 상황이니 정황상 프랑수아1세가 정중히 모셔야 했는데 단추 자랑을 했으니 동맹은 결국 결렬! - pp27~28. 1부 의생활 02. 영원한 라이벌, 단추와 지퍼
하지만 이 같은 굽고 졸이고 튀기는 서양요리 전통은 사실 ‘가리지날’입니다. 16세기 이전에는 유럽에서도 각종 국물요리가 많았어요. 벽난로 위에 큰 솥을 걸고 스튜를 만들어, 우리 한식처럼 온 가족이 둘러앉아 빵 등 각종 요리와 함께 한상 차려서 먹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 같은 식생활 문화를 노 국물, 코스요리로 단번에 뒤집은 한 여인이 있었습니다. 세계사 시간에도 나오는, 프랑스 종교 분쟁 당시 활약한 유명한 철의 여인, ‘카트린 드 메디시스(카테리나 데 메디치, Catherine de Médicis)’가 서양 정식 코스요리의 전파자가 됩니다. (중략)
당시 그녀의 나이 만 14세. 프랑스 왕가 출신인 어머니의 고국으로 시집가는 것이지만, 당시로선 군사력만 강했지 영 촌뜨기이던 프랑스 왕실의 생활상을 미리 알아보기 위해 보낸 집사의 얘기를 듣고 경악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카트린의 결혼식 행렬에는 요리사, 주방 제작자, 식기 제작자 등 400여 명의 수행요원이 따라가서 프랑스 왕가에 정식 코스요리와 스푼, 포크를 선보이며 로마제국 이래 유럽 문화의 핵심이던 이탈리아 식사법을 알려주게 됩니다.
그런데, 정작 양식요리의 본가 이탈리아에선 이후에 중국에서 전파된 파스타, 아랍 세계에서 전파된 피자, 쌀로 만든 라자냐 등 동방에서 들어온 새로운 요리가 인기를 끈 게 함정이긴 하죠.
그후 프랑스의 국력이 팽창하면서 프랑스 왕실 코스요리가 유럽 각국에 전파되면서 국물요리는 업신여기게 되어 동유럽이나 스페인 등에 일부 스튜요리만 남았을 정도로 서유럽 지역에선 국물요리는 사라지게 됩니다.
- pp73~76. 2부 식생활 01. 식사의 철학
이처럼 널리 쓰이는 옥수수에는 놀라온 비밀이 숨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옥수수는 1만 년 전 인류에 의해 개발된 최초의 유전공학 식물이란 겁니다!!! (오 마이 갓뜨~! )
실제 야생상태에서 옥수수는 사람이 일일이 여러 겹의 겉껍질을 까주지 않으면 안의 노란 씨가 밖으로 나올 수 없어 더 이상 번식할 수 없습니다. 즉, 완전히 인간에 의해서만 종족 번식이 유지되는 식물인 겁니다.
실제 원시종 옥수수와 우리가 재배하는 현대 옥수수 사이엔 큰 차이가 있습니다. 옥수수는 줄기 하나에 묵직한 옥수수속(우리가 먹는 옥수수) 하나가 자라는 반면, 옥수수의 조상이라 여겨지는 ‘테오신트(Teosinte, 돼지수수)’는 가느다란 풀인데, 이 식물은 여러 줄기에 여러 이삭이 달리는데 이삭도 1인치가 채 되지 않고 겉껍질도 없다고 하네요.
그 외에도 유사 식물인 수수, 사탕수수도 생긴 건 영 다르거든요. 이들 사촌들도 옥수수처럼 씨앗이 뭉텅이로 달리지 않고 줄기만 길어서 외관상으로 전혀 닮지 않았답니다. 즉, 다른 식물과 다르게 옥수수가 인간의 손에 의해서만 종족이 유지되도록 존재한다는 건 그 옛날 누군가에 의해 유전적 변형이 이루어졌던 겁니다!!! - pp117~118. 2부 식생활 04. 알고 먹자, 옥수수
우리는 흔히 유목민은 다 원시적이고 후진적이라고 생각하는데, 이처럼 역사에 나오는 북방 민족은 처음부터 유목민이던 집단과 원래는 농사를 지었으나 기후 변화로 인해 어쩔 수 없이 유목민으로 변해간 집단으로 구분할 수 있고, 두 집단은 달랐습니다.
기존 농경 문화를 형성하다가 날씨가 추워진 탓에 본의 아니게 반농반목민으로 돌아간 이들은 상호 네트워크를 형성해 유럽에서부터 동북아시아까지 ‘초원의 길’을 만들어 기원전 문명간 인적, 물적 교류를 담당하게 됩니다.
이후 이들 유목 민족은 중국으로 남하했고, 5호16국 시대를 거쳐 수, 당 시대에 이르자 수, 당 제국의 황제들도 모두 북방계 출신이어서 개방적이었던 덕에 기존 오리지날 중국인 왕조와 달리 대외 교류에 적극적으로 나섭니다. 그들은 기존 초원의 길 경험을 살려 실크로드를 만들게 되고, 이후 이슬람 문명과 바닷길로도 연결되어 동서양을 연결하게 만듭니다.
우리 민족의 주류인 예족, 맥족 역시 저 멀리 바이칼 호수 근처까지 북상해 살다가 기를 쓰고 만주와 한반도로 내려오게 된 것도 다 지속적인 기온 저하 때문이었습니다.
빙하기 시절 한반도는 초원이 우거진 마른 땅이었지만, 이후 간빙기가 되면서 잠시나마 매머드와 코뿔소가 뛰어놀던 아열대우림 지역으로 변해 해안가를 제외하고는 사람이 농사짓기 힘든 곳이었지만 서서히 온도가 냉각되어 지금과 같은 기후로 변한 것이죠. - pp203~204. 3부 주생활 03. 빙하기와 유목민
그 뒤로 1500여 년간 잊혀진 올림픽 경기는 19세기 말 프랑스의 정치가이자 교육자인 쿠베르탱(Pierre de Coubertin) 남작에 의해 1896년 근대 올림픽으로 부활했다고 다들 배우셨을 텐데요. 사실 이건 ‘가리지날’입니다. 근대 올림픽을 부활시킨 원조는 따로 있다고 합니다.
그분은 바로, 영쿡의 식물학자이자 고대 그리스 덕후이던 윌리엄 P. 브룩스 박사(Dr. William P. Brookes)입니다. 그는 고대 그리스 올림픽에 감명을 받아 엄격한 신체 단련이 건전한 기독교인을 만들 것이라 믿고, 영국 잉글랜드 서쪽 슈롭셔 주 머치 웬록(Much Wenlock)이란 동네에서 주변 마을 사람들을 불러 모아 1850년에 동네 대항 경기 형태로 올림픽을 부활시킵니다.
이후 매년 열린 이 대회는 처음엔 멀리뛰기, 달리기, 공던지기 정도였지만, 이후 외바퀴 손수레 경주, 통나무 멀리 던지기 등 다른 경기를 추가했고 고대 그리스처럼 우승자에겐 월계관을 수여했다고 하네요.
- pp252~253. 4부 스포츠 01. 근대 올림픽 창시자는 누구일까요?
그런데 이 중에서 기본으로 배우는 자유형이란 명칭은 실은 ‘가리지날’입니다.
정확한 명칭은 ‘크롤 영법(crawl stroke)’입니다. 우리말로는 글쎄요……, 기면서 차기 영법?
위에 쓴 수영법 종류를 다시 한 번 보세요. 다른 영법은 다 ‘~영(泳)’인데 오로지 ‘자유형(型)’은 끝 글자가 다르죠? 원래 ‘자유형(自由型, free style swimming)’은 수영경기 종목입니다. 수영대회 시 어떤 영법을 써도 되는 게 자유형 경기에요.
1896년 첫 올림픽 경기 당시부터 자유형 경기가 있었는데, 당시엔 지금과 같은 표준화된 규칙이 없었기에 세부 종목 없이 무슨 방식이든지 빨리만 오면 되는 것이었답니다. 초기에는 주로 평영 위주로 갖가지 방식이 등장했지만 1900년 이후부터 다른 영법에 비해 크롤 영법이 가장 빨라 죄다 크롤 영법으로 하고 있고, 그 때문에 그 영법을 자유형이라고 다들 인식하는 거지요. - p302. 4부 스포츠 07. 수영에서 자유형이라는 영법은 없다
옷으로 세계사를, 음식으로 경제를, 집으로 신화를, 스포츠로 인간을 이해하게 되는 재미있고 유익한 책!
√ 가짜 오리지날, 즉 가리지날을 파헤쳐 오리지날 상식을 알려주는 《알아두면 쓸데 있는 유쾌한 상식사전》시리즈
20만 독자의 사랑을 받은 《알아두면 쓸데 있는 유쾌한 상식사전》시리즈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오리지날’로 알고 있는 상식이 실제로는 가짜 오리지날, 즉 ‘가리지날’임을 낱낱이 밝혀 오리지날 지식의 유래와 역사를 알려주는 상식사전이다. 시리즈 첫 번째 책, ‘일상생활 편’에서는 의(依), 식(食), 주(住), 스포츠(sports) 분야의 가짜 오리지날 상식을 알려준다. ‘옷(依)으로 세계사를, 음식(食)으로 경제를, 집(住)으로 신화를, 그리고 스포츠로 인간을 이해하게 되는’ 이 책은, 상식의 놀라운 반전을 통해 오리지날 지식을 쌓는 새로운 즐거움을 선사하고 있다.
시리즈 첫 책인 ‘일상생활 편’을 비롯해, ‘과학ㆍ경제 편’, ‘언어ㆍ예술 편’, ‘한국사 편’, ‘최초ㆍ최고 편’, ‘우리말ㆍ우리글 편’, ‘별난 국내여행 편’, ‘사라진 세계사 편’까지 총 8권에 이르는 시리즈 전체를 썼고, tvN의 인기 프로그램 ‘유퀴즈’에서 시사ㆍ상식 분야 퀴즈 1기 자문위원으로 활동했던 저자 조홍석은, 수많은 책과 연구자료, 신문 등을 바탕으로 연구한 독창적인 콘텐츠를 2011년 1월부터 15년간 정기적으로 사내 인트라넷 블로그, 각종 동호회 회원과 회사 동료, 고객들에게 보내는 메일, 그리고 외부 매체 칼럼 등을 통해 약 4만여 명에 이르는 사람들과 함께 나눠왔다. 저자의 콘텐츠에 열광한 독자들은, 그를 ‘걸어 다니는 네이버’, ‘유발 하라리 동생, 무발 하라리’, ‘한국의 빌 브라이슨’ 등으로 부르며, 그가 알려준 반전 상식에 한 번 놀라고 그의 상상력으로 풀어낸 재치 있는 스토리텔링식 설명에 찬사를 보내고 있다.
√ 평범한 상식과 특별한 지식이 독창적인 스토리텔링으로 뜻밖의 지점에서 만난다
이 책이 다른 상식사전과 차별화되는 가장 큰 장점은, 저자의 맛깔 나는 스토리텔링에 있다.
한 예로, 옷을 여미는 ‘단추’라는 평범한 소재로 이야기를 시작하는 스토리텔링은, 나폴레옹이 러시아 원정에서 실패한 이유로, 그가 프랑스 군인들의 사기를 높여주기 위해 당시 새로 발견한 금속인 ‘주석’을 이용해 군복에 단추를 주렁주렁 달아 입혔는데, 러시아의 맹추위에 주석이 다 으스러지면서 군복이 다 풀어헤쳐져 많은 병사들이 얼어 죽었기 때문임을 이야기해준다. 이에 덧붙여 흥선대원군이 임오군란의 배후자로 의심받아 청나라에 잡혀갔다 조선으로 귀환할 때 마고자를 입고 오면서 우리나라에 여밈 기능을 장착한 ‘서양식 단추’가 최초로 전해졌으며, 흥선대원군이 면 13겹을 겹쳐 만든 세계 최초의 방탄조끼, 면제배갑(綿製背甲)을 개발하게 한 이야기까지 흘러간다.
매 소재마다 평범하고 익숙한 상식으로 시작해 특별하고 흥미진진한 지식으로 끝을 맺고 있는 저자의 스토리텔링은, 읽는 이로 하여금 ‘세상의 모든 상식과 지식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느끼게 해준다.
√ 재치 있는 구어체 설명으로 어렵고 복잡한 내용도 쉽고 재밌게 배운다
동서고금을 넘나드는 스토리텔링과 더불어 이 책이 가지는 장점은, 구어체를 활용한 설명과 대화체를 들 수 있다. 저자는 지극히 평범한 일반 독자들에게 좀더 친근하게 다가가기 위해, 지금 현장에서 저자와 대화를 나누고 있는 듯한 구어체 스타일로 글을 썼다. 더불어 저자가 창작해낸 ‘상황 묘사 대화체’와 유쾌 발랄한 스타일로 어우러진 일러스트는 독자들에게 큰 웃음과 재미를 선사하는 장치로 손색이 없다.
작가정보
아폴로 11호가 달에 도착하던 해에 태어났다.
어린 시절 신동으로 소문났었다고 혼자 기억하고 있으며, 초등학생 때 본 영화 ‘스타워즈’에 감명받아 우주의 수호자가 되겠다는 야심 찬 꿈을 품은 채 연세대학교 천문기상학과에 입학했다.
하지만 인류 최후의 위대한 학문인 천문학의 발전을 위해서는 ‘ 내가 아무것도 안 하는 것이 낫겠다.’는 깊은 자아성찰을 했다고 한다. 이후 ‘이 정도면 잘생겼다.’는 근거 없는 자신감을 바탕으로 삼성그룹 공채 시험에 합격해 삼성SDS를 거쳐 현재 삼성서울병원에서 근무 중이다.
2011년 1월부터 15년간 지인들에게 보낸 메일과 외부 매체에 가끔 쓴 칼럼, 그리고 사내 인트라넷에 올린 글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강제로 출판하게 되었다. 다만, 그동안의 업무 경험이나 그가 학위를 받은 천문학, 경영학은 이 책 내용과 그다지 관계가 없다.
‘걸어 다니는 네이버’, ‘유발 하라리 동생, 무발 하라리’ 등으로 불리지만, 유쾌한 지식 큐레이터로서 ‘한국의 빌 브라이슨’이라 불리길 원하고 있다.
십수 년 전 쌍둥이 남매를 낳은 후 “내가 니 애비다…….”라고 나직이 읊조리며 검은 마스크를 쓴 채 우주 정복을 꿈꾼다는 소문이 돌고 있으나 이는 오로지 미세먼지와 지나친 더위로 인한 기분 탓이라며 부인하고 있다.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