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ation of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Early Childhood Digital Media Literacy
- 발행기관
- 한국창의력교육학회
- 저자명
- 이주현(Juhyun Lee) 태진미(Jinmi Tae)
- 간행물 정보
- 『창의력교육연구』제25권 제3호, 133~15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의 발달 특성과 놀이 맥락을 반영하여 유아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을 정의하고, 이에 따른 구성요인과 하위요인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헌 분석과 전문가 협의를 통해 이론적 개념과 구성요인을 도출하였으며, 1·2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은 ‘유아 발달 수준에 따라 디지털 미디어를 이해하고 활용하며, 이를 통해 감상·표현·창작을 수행하고, 정보를 비판적으로 이해하며, 디지털 사회에서 책임 있는 태도를 지니는 능력’으로 정의되었다. ‘디지털 미디어 이해와 사용’, ‘디지털 미디어 감상과 창작’, ‘디지털 미디어 비판적 이해’, ‘디지털 시민성’의 4개 구성요인과 ‘디지털 미디어 탐색 및 이해’, ‘디지털 미디어 사용’, ‘디지털 미디어 감상’, ‘디지털 미디어 표현’, ‘디지털 미디어 창작’, ‘디지털 미디어 정보의 올바른 수용’, ‘정보의 사실과 상상’, ‘디지털 예절과 타인 존중’, ‘디지털 미디어 사용 규칙’ 등 9개의 하위요인이 도출되었다. 각 요인들은 평균, CVR, CVI, 수렴도, 합의도, 안정도 기준을 충족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기의 디지털 리터러시 개념 및 구성요인을 제시함으로써, 유아기의 효율적인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함양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fine the concept of digital media literacy in early childhood by reflecting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and their play context, and to explore its factors and sub-factor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consultation, theoretical concepts and factors were derived, and their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using a two-round Delphi survey. The findings indicate that digital media literacy in early childhood can be defined as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use digital media according to developmental levels, to engage in appreciation, expression, and creation, to critically understand information, and to demonstrate responsible attitudes in the digital society. Four main factors were identified—Understanding and Use of Digital Media, Appreciation and Creation of Digital Media, Critical Understanding of Digital Media, and Digital Citizenship—along with nine sub-factors: Exploration and Understanding of Digital Media, Use of Digital Media, Appreciation of Digital Media, Expression through Digital Media, Creation with Digital Media, Proper Acceptance of Media Information, Distinguishing Facts from Imagination, Digital Etiquette and Respect for Others, and Rules for Digital Media Use. All factors satisfied the criteria for mean score, CVR, CVI, convergence, agreement, and stabili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stablishes the concept and factors of digital media literacy in early childhood and provides foundational data for fostering effective digital media literacy competencies in young childre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미디어와 교육
- 한국출판학연구
- 핵심역량교육연구
- 한국언론정보학보
- 유아교육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 연구
- 유아교육연구
- 유아교육학회
- 인지발달중재학회지
- 열린유아교육연구
- 조형교육
-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 어린이미디어연구
- 한국유아교육학회
- 한국유아교육연구
- 어린이미디어연구
- 인문콘텐츠
- 교육연구논총
- 어린이미디어연구
- 열린유아교육연구
- 어린이미디어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한국언론학보
- 인간 사랑과 생명 존중 실천, 열린부모교육학회 정기학술대회자료집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유아교육학논집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윤리연구
-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 youth and media
- Contemporary Educational technology
- JMIR Pediatrics and Parenting
- Psychology in Russia: State of the Art
-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 Personnel psychology
- Communications
- UNICEF Office of Global Insight and Policy
-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 UNESCO Asia and Pacific Regional Bureau for Education, Bangkok
- Journal of media literacy educa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