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print exposure on phonological activation during word recognition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윤영준(Youngjun Yoon) 주성준(Sungjun Joo)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제26권 제3호, 651~66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국문 초록
소리 내어 글을 읽지 않아도 단어의 음운 정보는 뇌의 읽기 회로에서 처리되고 표상된다. 그러나 이 과정이 개인의 활자 노출 시간에 따라 조절되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시각 단어의 음운부호화가 활자 노출 빈도에 의해 촉진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우리는 활자 노출 빈도의 대리 지표로 한국 작가 재인 검사(Korean Author Recognition Test)를 실시하여 활자 노출 빈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어휘 판단 과제(lexical decision task)에서의 반응 시간을 측정하였다. 반응시간은 동음비단어 조건(pseudohomophone; 예: ‘식량’을 유사하게 발음하는 ‘싱냥’)과 비단어 조건(pseudoword)에서 측정되었다. 실험 결과, 동음비단어 조건에서의 반응시간이 비단어 조건보다 느리게 나타났다. 이는 동음비단어 조건에서의 음운 활성화로 인한 간섭 효과로 해석될 수 있는 결과이다. 생성한 동음비단어의 기반이 되는 실제 단어의 빈도에 따라 반응시간을 분석한 결과, 고빈도 조건에 한하여 동음비단어 조건의 반응시간 우세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 관찰된 동음비단어 조건과 단순 비단어 조건의 반응시간 차이를 음운 정보 활성화 강도로 정의한 뒤, 한국 작가 재인 검사와의 상관 분석을 진행하였다. 한국 작가 재인 검사 점수는 동음비단어 조건의 반응 시간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이는 더 많은 독서 경험을 가진 사람들이 동음비단어 조건에서 더 큰 간섭을 경험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인쇄된 글에 더 많이 노출될수록 단어 재인 과정에서 음운 정보의 활성화가 더욱 촉진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는 알파벳을 기반으로 한 선행 연구들의 결과를 한글 문자 체계로 확장하여, 개인의 읽기 경험과 음운 표상 활성화 사이에 존재하는 상관관계의 일반화 가능성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Phonological information for written words is processed and represented within the brain’s reading circuitry even when the text is not read aloud. However, it remains unknown whether this process is modulated by an individual’s cumulative exposure to print. In the present study, we hypothesized that the phonological encoding of visually presented words would be facilitated by greater print exposure. To test this hypothesis, we administered the Korean Author Recognition Test as a proxy measure of print exposure and recorded participants’ reaction times in a lexical decision task. Reaction times were measured under two conditions: pseudohomophones (e.g., “싱냥,” which is pronounced similarly to the real word “식량”) and pseudowords.
Results show that responses in the pseudohomophone condition were slower than in the pseudoword condition, an effect attributable to phonological interference in the pseudohomophone condition. Further analysis, grouping pseudohomophones by the frequency of their base real words, revealed that this interference effect was significant only for high-frequency words. We then defined the reaction-time difference between pseudohomophone and pseudoword conditions as an index of phonological activation strength and conducted a correlational analysis with Author Recognition Test scores. Scores on the Author Recognition Test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reaction times in the pseudohomophone condition, indicating that individuals with greater print exposure experienced stronger phonological interfere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creased exposure to printed text enhances the automatic activation of phonological information during word recognition. Moreover, by extending results from alphabetic-script research to the Korean writing system, this study contributes evidence for the generalizabili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experience and phonological representation across orthographies.
목차
Ⅰ. 서론
Ⅱ.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