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Satisfaction Factors in Educational Tourism for International Students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김형근(Hyunggeun Kim)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제26권 제3호, 631~65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령인구 감소와 고등교육의 국제화라는 이중의 구조적 변화 속에서, 한국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 및 지원정책의 현황과 개선방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최근 들어 국내 고등교육기관, 특히 지방 소재 대학들은 인구절벽으로 인한 신입생 미충원 및 재정난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 하에서 외국인 유학생 유치는 단순한 정원 충원이 아니라 지역균형발전, 국제적 인재 유치, 국가경쟁력 강화 등의 다층적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A대학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경험 실태와 학생지원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심층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유학생들은 행정·학업 상담, 생활지원 등 여러 부문에서 다양한 도전을 겪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취·창업 지원’ 비교과 프로그램의 체감 만족도가 다른 항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달리 상담·행정 지원 체계는 비교적 높은 만족도를 보여, 대학 내부 우수운영 사례로서 향후 타 분야 서비스 개선에 참고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유학생들은 취업, 경력개발 등 실질적 진로 지원을 중시하는 반면, 관련 프로그램의 범용성과 실효성 부족이 주요 개선과제로 부상하였다. 이는 외국인 유학생 유치가 단기적 정원확보를 넘어, 국내 사회에의 ‘정착’과 미래 노동인력 확보라는 국가적 과제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외국인 유학생 지원정책이 단일 부서 중심의 행정보다는 다양한 프로그램, 데이터에 기반한 지속적 모니터링, 현장 수요와의 긴밀한 연계를 통해 발전해야 함을 강조한다. 아울러 상담, 학업, 생활 등 기본지원 체계의 강점을 유지·확산하는 한편, 장기적으로는 장학금 제공, 학생자치활동 지원 등 비핵심 분야의 개선도 점진적으로 검토해야 할 것임을 제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한국 대학 유학생 정책의 발전을 위해서는, 실효성 있는 진로지도 강화, 내부 우수사례 확산, 전반적 서비스 연계체계 구축 등 통합적이고 지속가능한 정책패러다임 전환이 절실하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국내 타 고등교육기관의 국제 경쟁력 제고와 더불어, 포스트 인구절벽 시대에 대응하는 국가 인재전략의 새로운 기반 마련에 중요한 기여점을 제공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present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potential directions for improving foreign student recruitment and support policies at Korean universities within the dual structural contexts of a declining school-age population and the ongoing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Recently, demographic shifts have imposed significant challenges on domestic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particularly those located in regional areas, as they face issues such as unfilled freshman enrollment quotas and heightened financial constraints. Within this context, the recruitment of international students has come to be regarded not merely as a strategy to address enrollment shortfalls but as a multifaceted policy issue interlinked with regional development, the attraction of global talent, and the enhancement of national competitiveness.
To investigate these issues,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survey of international students enrolled at University A, focusing on their lived experiences and levels of satisfaction with the institution’s support services. The findings reveal that international students encounter a variety of challenges across key functional domains, including administrative guidance, academic advising, and living support. Among these, non-curricular programs—particularly those focused on career and entrepreneurship support—exhibited the lowest satisfaction levels. By contrast, the counseling and administrative support systems demonstrated relatively high satisfaction rates, underscoring the potential of these areas to serve as exemplary practices that could inform the development of improved services elsewhere.
A particularly salient finding is that international students place highest priority on practical career-focused support, such as job placement and career development opportunities. However, the study identifies a lack of standardization, coverage, and effectiveness in these career-related programs, which emerged as a critical area for policy intervention. This suggests that the recruitment and reten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must be viewed not only as a short-term response to declining domestic enrollment but also as a strategic pathway to fostering the long-term integra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into Korean society and cultivating a globally competitive workforce.
Furthermore, the study emphasizes the need to shift foreign student support policies away from a department-centered administrative approach and toward a more comprehensive, interdisciplinary framework. This shift should be grounded in diversified programming, ongoing data-driven monitoring, and a close alignment with the demands of both students and the broader academic ecosystem. While efforts should be made to sustain and enhance achievements in core areas of support—such as counseling, academic guidance, and living services—long-term improvements in secondary domains, such as scholarship systems and support for student self-governance activities, should also be prioritized.
In conclusion, this study underscores the urgent necessity of transitioning to an integrated and sustainable policy paradigm for international student recruitment and support. Such a paradigm should include the strengthening of career-oriented support systems, the dissemination of successful internal practices, and the establishment of a cohesive, well-coordinated framework for student servic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