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우레이(Wu Lei) 읽기: 한국 미디어가 보도/재현하는 양상과 방식의 한국적 의미

이용수 18

영문명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South Korean Media’s Representation of Wu Lei
발행기관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노한솔(Hansol Noh) 서재철(Jaechul Seo) 천영진(Youngjin Chun)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제26권 제3호, 551~57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국 축구선수 우레이(Wu Lei)를 중심으로, 한국 미디어가 그를 어떤 방식으로 해석하고 재현하는지를 비판적 담론분석(Critical Discourse Analysis, CDA)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2017년부터 2022년까지 한국 미디어의 보도 기사들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표현과 보도 서사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우레이를 ‘중국 축구굴기(蹴球崛起)’라는 국가 주도의 스포츠 부흥 정책 속에서 탄생한 대표적 인물이자, 국가적 상징을 부여받은 최고의 축구 선수로 바라보는 관점을 바탕으로, 그에 대한 한국 미디어의 재현 방식이 어떠한 의미를 구성해내는지를 집중적으로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 미디어는 첫째, 우레이를 외국인 용병에 의존하는 미완의 스타로 재현하며, 이를 통해 중국 축구의 구조적 한계를 부각하였다. 둘째, 2019년 아시안컵을 전후하여 ‘14억 인민의 자존심’과 ‘중국 메시’와 같은 과장된 수사와 상징적 언어를 사용하면서도, 특정 인터뷰 내용을 강조하거나 재맥락화함으로써 그를 자기과시적이고 공감받기 어려운 인물로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프리메라리가 진출 이후에는 경기력 중심의 보도에서 이탈하여 ‘마케팅용 선수’, ‘마스코트’로 형상화하며, 중국 자본의 스포츠 시장 개입이라는 또 다른 기호를 부여하였다. 이러한 보도 담론은 단순한 스포츠 기사 생산을 넘어, 동아시아 지역에서의 상징 정치와 문화적 상상력의 형성에 깊숙이 관여하고 있으며, 한국 사회 내부의 위계 질서와 정체성을 정당화하는 담론 장치로 작동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레이에 대한 재현을 통해, 한국 미디어가 어떻게 ‘중국 축구굴기’라는 문화적 타자를 인식하고, 그 위협을 관리하며, 궁극적으로는 자국의 이데올로기적 정당성을 강화해 가는지를 비판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how the South Korean media interprets and represents Chinese footballer Wu Lei through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CDA). The analysis draws on news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17 and 2022, focusing on recurring expressions and narrative patterns. Wu Lei is viewed not merely as an individual athlete but as a symbolic figure produced by China’s Football Revivalpolicy—a state-led campaign for sporting advancement—and positioned as one of the most prominent icons of Chinese football. From this perspective, the study examines how the South Korean media’s representational strategies construct broader meanings surrounding his image. The analysis reveals three main discursive tendencies. First, Wu Lei is portrayed as an incomplete star who relies heavily on foreign players, thereby highlighting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Chinese football. Second, in coverage surrounding the 2019 AFC Asian Cup, he is simultaneously framed as the “pride of 1.4 billion people” and the “Chinese Messi,” while also being reconstructed through selective quotations and recontextualized interviews as a boastful and unsympathetic figure. Third, after his entry into La Liga, media discourse shifts away from performance-centered reporting, instead depicting him as a “marketing tool” or “mascot,” signaling the influence of Chinese capital on the global sports market. These discursive patterns go beyond mere sports journalism; they actively participate in shaping symbolic politics and the cultural imagination within East Asia. Furthermore, such representations serve as discursive apparatuses through which South Korean society reaffirms its internal hierarchies and national identity. By analyzing the case of Wu Lei,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how the South Korean media recognizes China’s Football Revivalas a cultural Other, manages its perceived threat, and ultimately reinforces domestic ideological legitimacy—often framed through the lens of Korea Phobia.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틀과 관점
Ⅲ. 미디어 보도/재현의 양상
Ⅳ. 미디어 보도/재현에 대한 맥락적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노한솔(Hansol Noh),서재철(Jaechul Seo),천영진(Youngjin Chun). (2025).우레이(Wu Lei) 읽기: 한국 미디어가 보도/재현하는 양상과 방식의 한국적 의미. 인문사회과학연구, 26 (3), 551-575

MLA

노한솔(Hansol Noh),서재철(Jaechul Seo),천영진(Youngjin Chun). "우레이(Wu Lei) 읽기: 한국 미디어가 보도/재현하는 양상과 방식의 한국적 의미." 인문사회과학연구, 26.3(2025): 551-575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