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racing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Printed Edition of Tanyan's Commentary on the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āyāna
- 발행기관
- 한국불교연구원
- 저자명
- 池田將則(IKEDA Masanori)
- 간행물 정보
- 『불교연구』第63輯, 29~79쪽, 전체 5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불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국문 초록
담연(曇延, 516-588) 『대승기신론의소(大乘起信論義疏)』(이하 「담연소」)는 진제삼장(眞諦三藏, 499-569)이 번역했다고 전해 온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이하 『기신론』)에 대한 주석서이며, 현재 남아 있는 『기신론』 주석서들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 중의 하나이다. 본고에서는 담연소 연구의 기초 작업으로 담연소의 텍스트 문제를 고찰한다.
현재 연구자가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담연소 텍스트는 메이지(明治) 42년(1909)에 일본에서 간행된 『대일본속장경(大日本續藏經)』 수록본(이하 「속장경본」)밖에 없다. 그러나 이 간본(刊本) 텍스트는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또 담연소 텍스트 문제에 대한 선행연구로 모치즈키 신코(望月信亨) (1922)와 다카사키 지키도(高崎直道) (2009[1997])가 있지만, 양자가 참조한 담연소 사본은 합쳐도 총 세 개에 불과하다.
본고에서는 현 단계에서 필자가 확인한 13개 담연소 사본들을 바탕으로, 특히 유일한 간본인 속장경본의 텍스트 성립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담연소 텍스트 문제를 고찰한다. 본고의 고찰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본에서 전해 온 담연소 사본은 현재 13개가 확인된다.
2. 이 13개 사본들은 A류, B류, C류 등 세 가지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3. A류의 텍스트가 가장 양질이다. 그 다음가는 것은 B류이고, C류의 텍스트가 가장 질이 나쁘다.
4. 담연소의 현행 텍스트 즉 속장경본은 C류에 속한다.
5. C류 내부에서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텍스트가 전승되고 있다: 류코쿠(龍谷) 대학 소장 사본 제2(이하 「龍大本 2」) → 류코쿠 대학 소장 사본 제3(이하 「龍大本 3」) → 교토(京都) 대학 소장 사본(이하 「京大本」) → 속장경본.
6. 뒤 세 개 즉 龍大本 3, 京大本, 속장경본은 모두 주기 없이 텍스트를 바꾼 경우가 있다.
영문 초록
Tanyan's 曇延 (516-588) Dacheng qixinlun yishu 大乘起信論義疏 (the Commentary on the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āyāna, hereafter referred to as the “Tanyan Commentary”) is an annotated work on the Dacheng qixinlun 大乘起信論 (the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āyāna, hereafter referred to as the Awakening of Faith), traditionally attributed to Paramārtha (499-569) as well as one of the oldest surviving commentary on the Awakening of Faith. This paper aims to lay the groundwork for further research on the Tanyan Commentary by examining textual issues within its extant versions.
Currently, the only widely accessible version of the Tanyan Commentary is the one included in the Dainihon Zokuzōkyō 大日本續藏經, published in 1909 at Japan (hereafter referred to as the “Zokuzōkyō Version”). However, this printed text is riddled with numerous issues.
Previous studies on the textual issues of the Tanyan Commentary, such as those by MOCHIZUKI Shinkō 望月信亨 (1922) and TAKASAKI Jikidō 高崎直道 (2009 [1997]), reference only three manuscript versions of the commentary.
Building on these prior works, this paper examines the textual issues of the Tanyan Commentary using thirteen manuscript versions that the author has identified to date. Particular attention will be given to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Zokuzōkyō Version, the sole printed edition, to shed light on the textual problems of the Tanyan Commentary.
The research conclusions are as follows: 1. Thirteen manuscript versions of Tanyan Commentary are extant in Japan.
2. These manuscript versions can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from A to C.
3. The texts of Group A embodies the best quality. Group B comes next, Group C embodies the worst.
4. Zokuzōkyō Version belongs to Group C.
5. The texts of group C has been inherited in the following order: the second manuscript belonging to Ryūkoku (龍谷) University → the third manuscript belonging to Ryūkoku University → the manuscript belonging to Kyoto (京都) University → Zokuzōkyō Version.
6. The latter three frequently altered the original texts without any comment.
목차
Ⅰ. はじめに
Ⅱ. 曇延『大乘起信論義疏』の現存寫本と刊本
Ⅲ. 曇延『大乘起信論義疏』現行テクストの成立過程
Ⅳ. おわりに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