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1920 Cholera Epidemic on Jeju Island
- 발행기관
- 제주학회
- 저자명
- 고경호(Kyoung-Ho Ko)
- 간행물 정보
- 『제주도연구』제64권, 135~15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국문 초록
본고는 1920년 제주지역에 큰 피해를 준 콜레라 사태의 참상과 제주민의 대응이 갖는 역사적인 의미를 살펴보기 위한 글이다. 이를 위해 당시 사상자의 통계, 일제가 남긴 자료, 신문자료 및 후손들이 남긴 자료 등을 살펴보았다. 일제의 방역은 전반적으로 실패하였다. 허술한 검역체계로 인해 질병이 확산하였고, 예방주사 물량 확보에도 실패 하는 한편 접종 시기와 격리 조치 또한 제때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콜레라에 대응하기 위한 의료 인력의 충원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래서 제주에서는 콜레라 발생 이전과 동일한 불과 21명의 의료 인원이 20만명에 달하는 제주도민을 담당하여야 했다. 일제는 방역 실패의 원인을 제주도민의 기질에 있다는 식으로 책임을 떠넘겼다. 그러나 제주도민은 자체적으로 방역단을 구성하고, 성금을 모아 구호 활동에 나섰다. 제주 의료 인들도 자비를 내어 지원에 나섰다. 제주도민과 의료인의 노력으로 콜레라는 결국 종식되었으나, 그 참혹한 기억은 지속되어 ‘庚申年 遮斷’ 등으로 1971년 제8회 국회의원 선거에까지 회자되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cholera epidemic that devastated Jeju Island in 1920 and the response of the Jeju people. To do so, the statistics of the casualties and the documents left behind by the Japanese government, as well as newspaper reports and documents from descendants, were examined. The Japanese government failed to prevent the disease from spreading due to a weak quarantine system, being unable to secure enough vaccine supplies, and not implementing timely vaccination and quarantine measures, resulting in an overall failure. The cholera epidemic also resulted in a shortage of health care workers, leaving only 21 health care workers to treat 200,000 Jeju Islanders, the same number as before the cholera epidemic. The Japanese government blamed the failure of the epidemic on the temperament of the Jeju people. Jeju Islanders, however, organized their own quarantine teams, raised money, and began relief efforts. Jeju medical professionals also volunteered at their own cost. The cholera epidemic eventually ended thanks to the efforts of Jeju residents and medical personnel, but the horrific memories of the epidemic lingered, and the phrase “Gyeongsinnyeon Chadan” was used even until the 1971 election for the 8th National Assembly.
목차
Ⅰ. 서론
Ⅱ. 제주지역 콜레라 창궐과 그 참상
Ⅲ. 방역의 문제점과 제주민의 抗拒
Ⅳ. 제주 의료인의 방역 활동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