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역사의 서사화, 서사의 역사화: 홍경래난을 둘러싼 1812년 도성의 소문과 그 변주

이용수 0

영문명
Narrativizing History, Historicizing Narrative: Rumor, Political Plots, and the Reinvention of Hong Gyeong-rae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성아사(A-Sa Sung)
간행물 정보
『역사문화연구』제95집, 31~66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812년 초 홍경래난 당시 한양에 유포된 소문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역사적 사건이 서사로 변환되고 재생산되는 구조를 규명하고자 했다. 소문을 단순한 정보 전달 수단이 아닌, 집단적 무의식과 욕망이 응축된 서사로 바라보고 그것이 후대 문학 텍스트로 계승되는 양상을 통시적으로 고찰했다. 본고는 먼저 홍경래난 시기 생성된 소문이 당대인의 집단 심리를 반영하는 원초적 서사로 기능했음을 확인했다. 나아가 이 소문들은 ‘은언군 일가 추대설’과 같은 구체적 서사로 발전하여 현실 정치에 직접 개입했으며, ‘천오장 사건’에서 보듯 개인의 행동을 실제로 추동하는 힘을 발휘했음을 밝혔다. 이렇게 역사적 자산이 된 홍경래난 서사는 후대에 이르러 뚜렷한 변모를 겪는다. 사건 이후 출간된 방각본 소설 '신미록'은 상업적·이데올로기적 이유로 소문을 배제하고 홍경래를 ‘역적’으로 규정하는 첫 번째 틀을 확립했다. 이후 일제강점기 지식인들은 이 프레임을 정면으로 비판하며 그를 ‘영웅 또는 혁명가’로 재해석했고, 해방 이후 현대 작가들은 선악의 이분법을 넘어 다성적이고 복합적인 서사 구조를 통해 사건의 다면성을 복원하려 시도했다. 이 연구는 비공식 담론인 소문이 공식 역사 서술과 문학적 재현에 미치는 영향력을 구체적으로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아울러 하나의 역사적 인물이 시대별로 상이한 정치적·문화적 맥락 속에서 어떻게 재발명되는지를 보여줌으로써, 역사 서술의 구성적 성격과 문학의 역사 해석 기능을 함께 조명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rumors circulated in Hanyang (present-day Seoul) during the Hong Gyeong-rae Rebellion in early 1812, investigating the mechanisms through which a historical event is transformed and reproduced as narrative. Approaching rumors not merely as channels of information but as narratives embodying the collective unconscious and desires, this research diachronically traces how these narratives were inherited and reshaped in subsequent literary texts. The analysis first confirms that the rumors generated during the rebellion functioned as primal narratives reflecting the collective psychology of the era. Furthermore, these rumors evolved into concrete political plots, such as the rumor of a plot to enthrone Prince Eun-eon's family, which directly intervened in politics and demonstrated the power to impel individual actions, as evidenced in the “Cheon O-jang Incident.” These narratives, having become historical assets, underwent a distinct paradigm shift in later periods. The commercial novel Sinmirok, published after the rebellion, established the first framework by excluding these rumors for commercial and ideological reasons and defining Hong Gyeong-rae as a “traitor.” Subsequently, intellectual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directly criticized this frame and reinterpreted him as a “hero or revolutionary.” Finally, contemporary writers after liberation attempted to restore the multifaceted nature of the event through polyphonic and complex narrative structures that transcended this binary.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t demonstrates the influence of rumor as informal discourse on official historical accounts and literary representations. Moreover, by showing how a single historical figure is reinvented within different political and cultural contexts, it illuminates both the constructed nature of historical writing and literature's function in interpreting history.

목차

Ⅰ. 머리말
Ⅱ. 소문의 확산과 서사화
Ⅲ. 소문의 정치적 전용과 현실 개입
Ⅳ. 서사 패러다임의 전환과 재해석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성아사(A-Sa Sung). (2025).역사의 서사화, 서사의 역사화: 홍경래난을 둘러싼 1812년 도성의 소문과 그 변주. 역사문화연구, (), 31-66

MLA

성아사(A-Sa Sung). "역사의 서사화, 서사의 역사화: 홍경래난을 둘러싼 1812년 도성의 소문과 그 변주." 역사문화연구, (2025): 31-66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