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fining Core Components of Personnel Evaluation Systems and Developing Measurement Tools
- 발행기관
- 한국인사조직학회
- 저자명
- 김은수(Eunsoo Kim) 박용호(Yongho Park)
- 간행물 정보
- 『인사조직연구』제33권 제3호, 125~14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0
국문 초록
현대 경영환경에서 인사평가제도는 조직의 성과 향상과 구성원의 동기부여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평가제도의 구성요소를 개별적으로 접근하여 통합적인 측정도구 개발이 미흡한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사평가제도가 지향해야 할 가치를 반영한 핵심요소를 통합적으로 재정의하고, 이에 대한 측정도구를 개발 및 타당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고찰, 전문가 검증, 예비조사, 본조사의 4단계 절차를 거쳤다. 통합적 문헌고찰을 통해 4개 구성요소, 9개 하위요인, 45개의 예비문항을 도출하였고, 인사관리 분야 전문가 13명의 전문가 검증을 통해 44개의 초기문항을 확정하였다. 국내 사기업의 사무직 종사자 211명 대상의 예비조사와 527명 대상의 본 조사를 통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4개 구성요소, 8개 하위요인, 36개 문항을 확정하였다. 4개 구성요소 및 그 하위요인은 평가절차 공정성(투명성, 참여성), 평가항목 타당성(내용타당성, 수준타당성), 평가자 신뢰감(능력신뢰, 태도신뢰), 평가제도 수용성(평가운영 수용성, 평가결과 수용성)이다. 개발된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가 모든 구성요소에서 .89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구성타당도와 판별타당도도 양호한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본연구는 인사평가제도의 주요구성요소들을 체계적으로 정의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타당화된 도구를 개발하여 평가제도 연구의 학문적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조직의 인사평가 시스템 진단 및 개선에 직접 활용될 수 있는 실용적 가치를 지닌다. 또한 실무적으로는 향후 인사담당자들이 평가제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설계하고 운영하는데 유용한 지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Personnel evaluation systems play a crucial role i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employee motivation in modern business environments. However, existing research has addressed the components of evaluation systems individually, leading to limitations arising from the lack of well-developed integrated measurement tool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tegratively redefine the core components of personnel evaluation systems that reflect the values such systems should pursue, and to develop and validate corresponding measurement tools. The research employed a four-stage methodology comprising literature review, expert validation, pilot survey, and main survey. Through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we derived 45 preliminary items across 4 components and 9 sub-factors, which were refined to 44 initial items through expert validation by 13 specialists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Following a pilot survey with 211 office workers and a main survey with 527 participants from private- sector companies,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ere conducted to produce a finalized measurement tool consisting of 36 items across 4 components and 8 sub-factors. The four components and their sub-factors are fairness in evaluation procedures (transparency, participation), validity of evaluation criteria (content validity, level validity), trust in evaluators (competency trust, attitude trust), and acceptance of evaluation systems (acceptance of evaluation operation, acceptance of evaluation results). The developed measurement tool demonstrated high reliability (Cronbach’s α ≥ .89) and satisfactory construct and discriminant validity. Academically, this study offers a systematic identification and conceptualization of the core components of personnel evaluation systems and presents validated measurement tools, thereby establishing a solid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in the field.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practical value for direct application in diagnosing and improving organizational personnel evaluation systems. Additionally, it is expected to serve as a set of practical guidelines for HR managers in the effectiv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uch system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