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신요양시설 종사자의 연관낙인이 입소생활인의 자기낙인과 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영문명
Associative Stigma Among Mental Health Professionals: Organizational-Level Effects on Self-Stigma and Service Utilization Among Individuals With Mental Illness in Long-Term Care Institutions
발행기관
사회복지정책실천회
저자명
김성용(Sungyong Kim)
간행물 정보
『사회복지정책과 실천』11권 2호, 325~362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상징적 상호작용주의에 따르면 낙인받는 대상과 밀접한 관계를 맺는 사람들도 유사한 낙인을 경험할 수 있으며 이를 연관낙인이라고 한다. 정신건강영역의 종사자들은 정신장애인에 대한 부정적인 낙인으로 인해 연관낙인을경험할 수 있는데, 종사자의 연관낙인은 정신장애인의 자기낙인, 서비스 이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이러한 관계가 정신요양시설의 종사자와 입소생활인에게도 나타나는지 탐색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50개 정신요양시설의종사자 808명과 입소생활인 1,164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위계선형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조직수준에서 종사자의 연관낙인 수준이 큰 정신요양시설일수록 입소생활인의 자기낙인 수준이 증가하고, 서비스 이용은 감소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종사자의 연관낙인과 관련한 실천적함의를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According to symbolic interactionism, individuals who have close relationships with stigmatized persons may experience similar stigma, known as associative stigma. Mental health professionals (MHPs) may experience associative stigma due to the negative societal perceptions of individuals with mental illness (MI), which can adversely affect not only the MIs' self-stigma but also their utilization of mental health services. To examine whether these dynamics are observed among MHPs and MIs in long-term care mental institutions (LCMIs), I conducted a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HLM) analysis using data from 808 MHPs and 1,164 MIs across 50 LCM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higher levels of associative stigma among MHP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creased self-stigma and reduced service utilization among MIs. Based on these findings, I discuss practical implications for reducing associative stigma among MHP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 및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한국장애인복지학
  • 특수 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
  •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 비판사회정책
  • 재활복지
  •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 사회복지연구
  • 재활복지
  •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재활복지
  • 한국장애인복지학
  •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 상담학연구
  • 정신 건강과 사회복지
  • 한국사회복지학
  •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 한국후견·신탁연구센터
  • 한국사회복지교육
  •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 재활복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Evidence-Based Nursing Research
  • Psychiatric Rehabilitation Journal
  •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 Psychiatric Services
  • Journal of Mental Health
  • Schizophrenia bulletin
  • Journal of Mental Health
  •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 Issues in Mental Health Nursing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The journal of behavioral health services & research
  •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 Social Science & Medicine
  •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 Comprehensive Psychiatry
  • Journal of the American Psychiatric Nurses Association
  • The Milbank Quarterly
  • The Journal of Behavioral Health Services and Research
  • The Lancet
  •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 Psychiatry Research
  • Issues in Mental Health Nursing
  • Social Science & Medicine
  • Psychiatric Rehabilitation Journal
  • Psychiatry Research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성용(Sungyong Kim). (2025).정신요양시설 종사자의 연관낙인이 입소생활인의 자기낙인과 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11 (2), 325-362

MLA

김성용(Sungyong Kim). "정신요양시설 종사자의 연관낙인이 입소생활인의 자기낙인과 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11.2(2025): 325-362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