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구글 트렌드를 통한 일본인의 독도 이슈 관심 변화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alyzing the evolution of Japanese interest in the Dokdo issue through Google Trends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저자명
채송아(Song-Ah Chae) 이정민(Jung-Min Lee)
간행물 정보
『독도연구』제38호, 263~296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구글 트렌드 데이터를 활용하여 독도 문제에 대한 일본인의 인식과 한국에 대한 일본의 여론이 어떻게 변했는지, 북방영토와 센카쿠제도와 같은 다른 영토 분쟁과 비교하여 독도 이슈에 대한 일본인의 관심 변화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일본인이 독도에 관한 관심이 가장 증가한 시기는 2008년 이명박 대통령 방문 시기이며 독도 분쟁이 어떤 내용인지에 대해 궁금해하기 시작한다. 2009년은 한국에 대한 일본의 부정적 여론이 생겨나며 일본에서 독도 분쟁에 대한 한국의 주장에 대해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다. 2011년은 일본에서 다케시마와 관련한 다양한 이슈가 나타남과 동시에, 다케시마에 대한 세계의 반응에 관해서도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다. 2014년에서 2016년에 한국에 대한 일본의 부정적 여론은 떨어지기 시작했는데, 이는 일본에 다케시마와 관련된 부정적인 이슈가 크게 존재하지 않았던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북방영토, 센카쿠제도와 비교했을 때 독도 분쟁에 대한 일본인의 인식은 북방영토는 빼앗긴 땅이라 인식하지만 독도의 경우 빼앗긴 땅인 것인지, 역사적으로 정말 어느 나라의 땅인 것인지에 대해 인식이 불분명한 결과가 나왔다. 해당 연구는 기존 사료에 의존한 연구와는 달리 구글 트렌드를 통해 웹, 뉴스, 유튜브 등의 최신 검색 트렌드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일본 내 대중의 관심과 지정학적 서사의 역할을 이해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evolution of Japanese interest in the Dokdo issue using Google Trends data. First, we studied Japanese perceptions of the Dokdo issue and how Japanese public opinion toward South Korea has changed, and then we analyzed Japanese interest in the Dokdo issue in comparison to other territorial disputes such as the Northern Territories and the Senkaku Islands. The study found that Japanese interest in Dokdo peaked around the time of President Lee Myung-bak visit to South Korea in 2008, when they began to wonder what the dispute was all about. In 2009, Japan's negative public opinion of South Korea increases, and Japanese people become interested in South Korea's claims to the islands. In 2011, issues related to Takeshima begin to emerge in Japan, and the world's reaction to Takeshima begins to be of interest. From 2014 to 2016, Japan's negative public opinion of South Korea began to decline, a period in which Takeshima-related issues that negatively impacted Japan were largely absent. Finally, when comparing the Northern Territories issue to the Senkaku Islands issue, it was found that the interest in the Dokdo dispute and Japanese people's perceptions of it are different, with the Northern Territories being perceived as stolen land, but in the case of Dokdo, it is unclear whether it is stolen land or historically belonging to a countr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latest search trends on the web, news, and YouTube through Google Trends to understand the dynamics of public interest and geopolitical narratives in Japan,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relied on historical sources.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3. 연구 문제 및 분석 방법
4. 분석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경제와 사회
  • 일본문화학보
  • 비교일본학
  • 독도연구
  • 일본연구논총
  • 영토해양연구
  • 일본문화연구
  • 일본문화연구
  • 한림일본학
  • 영토해양연구
  • 일본근대학연구
  • 일본문화연구
  • Economic record
  • レファレンス
  • レファレンス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채송아(Song-Ah Chae),이정민(Jung-Min Lee). (2025).구글 트렌드를 통한 일본인의 독도 이슈 관심 변화 분석. 독도연구, (), 263-296

MLA

채송아(Song-Ah Chae),이정민(Jung-Min Lee). "구글 트렌드를 통한 일본인의 독도 이슈 관심 변화 분석." 독도연구, (2025): 263-296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