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 of 12-Week of bare-handed resistance exercise on serum lipids, insulin and C-peptide in elderly women with abdominal obesity
- 발행기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 저자명
- 최해인(Hae-In Choi) 김태규(Tae-Kyu Kim) 김지현(Ji-Hyeon Kim) 김민교(Min-Kyo Kim) 고수한(Su-Han Koh) 김도연(Do-Yoe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제42권 제3호, 373~38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공학 > 화학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2주간의 맨손 근력운동 수행이 복부비만 여성노인의 혈청지질, 인슐린 및C-peptide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운동군(EG, n=13), 대조군(CG, n=13)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맨손근력운동 강도는 주관적 운동 자각도(rating of perceived exertion; RPE)를 사용하였으며, 1-4 주, RPE 12-13, 5-8주, RPE 13-14, 9-12주, RPE 14-15로 설정하여 주 3회, 1회 운동시간 60분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측정항목에 대한 평균값(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였고, 그룹 및 시기 간 상호작용 효과검증은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를 실시하였다. 상호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필요에 따라 그룹 내 시기 간 차이 검증은 paired t-test를 실시하였고, 그룹 간 차이 검증은 independent t-test, 각 항목별 통계적 유의수준은 통계 방식에 따라 .05와 .025로 각각 달리 설정하였다. 그 결과, TG(p<.01) 및HDL-C(p<.05)에서 상호작용 효과, 인슐린(p<.05) 및 C-peptide(p<.01)는 시기 간 주효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12주간의 운동이 혈청지질 중 TG, HDL-C를 개선이 나타났고, 이는 혈관 및 대사 기능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결과라 생각된다. 하지만, 인슐린과 C-peptide에서는 운동군보다 대조군이 더 많이 증가하여, 맨손근력운동에 대한 긍정적인 개선은 기대하기 힘들었다. 이는 복부비만 여성노인의 나이가 고령임을 감안하였을 때, 비교적 짧은 저항운동 기간으로는 인슐린과 C-peptide의 변화를 기대하기 힘들다는점을 시사한다. 하지만, 맨손근력운동은 노인이 부상의 위험없이 실시할 수 있으므로 후속 연구를 통해 다양한 결과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by dividing into an exercise group (EG, n=13) and a control group (CG, n=13)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forming bare-handed resistance exercise for 12 weeks on serum lipids, insulin and C-peptide in elderly women with abdominal obesity. The exercise intensity was set to 1-4 weeks, RPE 12-13, 5-8 weeks, RPE 13-14, 9-12 weeks, and RPE 14-15 and was performed three times a week for 60 minutes. Data processing calculated the mean value (M) and standard deviation (SD) of the measurement item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action between group periods,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the difference between time periods within the group was set to paired t-test, the difference verification between groups was set to independent-t-test,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for each item was set to .05 and .025. As a result, the interaction effect TG (p<.01) and HDL-C (p<.05), and insulin (p<.05) and C-peptide (p<.01) showed effective effects between periods. As a result of the above, the 12 weeks exercise improved TG and HDL-C, very important effect in terms of blood vessels and metabolic functions. However, in insulin and C-peptide, the control group increased more than the exercise group, so it was difficult to expect a positive improvement in bare muscle exercise. This suggests that it is difficult to expect changes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resistance exercise. However, since bare-handed exercise can be performed in the elderly without risk of injury, it is necessary to confirm various results through follow-up studies.
목차
1. 서 론
2. 연구방법
3. 결과 및 고찰
5.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