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usage of ‘던(deon)’ corresponding to Japanese in adnominal clauses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민은진(Eunjin Min) 손동주(Dongju Son)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제26권 제2호, 167~19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국문 초록
연체절에서는 같은 일본어 동사 형식일지라도 시제와 상에 따라 대응하는 「던」의 의미 기능이 달라진다. 따라서 본고는 연체절의 일본어 ル, タ, テイル, テイタ형에 따라 한국어 관형사형 어미 「던」의 용법이 어떻게 차이 나는지를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의미 기능은 시제와 상을 고려하여 1단계는 ≪동시≫≪선행≫≪선행 중단≫≪비시간≫으로, 2단계는 <회상><반복><속성><진행><완료><상태>로 분류하여 고찰하였다.
연체절이 ル형인 경우는 ≪동시, 선행, 선행 중단, 비시간≫의 모든 상위 의미 기능이 나타나고, ≪동시≫의 하위 의미 기능은 <진행, 상태>, ≪선행≫에서는 <회상, 반복>, ≪선행 중단≫에서는 <진행>, ≪비시간≫에서는 <반복>이 나타난다. 그리고 같은 <진행>일지라도 ≪동시≫는 상대시제 ‘현재’로서 주체동작동사가 나타나고, ≪선행 중단≫은 상대시제 ‘과거’로서 주체동작·객체변화동사가 나타난다. 또한 같은 <반복>일지라도 ≪선행≫은 상대시제 ‘과거’로서 주체동작·객체변화동사나 주체변화동사가 나타나는 반면, ≪비시간≫은 시제를 파악할 수 없고, 주체동작동사가 나타난다.
연체절이 タ형인 경우는 ≪동시, 선행, 선행 중단≫이 나타나고, ≪동시≫에서는 <회상, 진행, 상태>, ≪선행≫에서는 <회상, 완료, 상태>, ≪선행 중단≫에서는 <상태>가 나타난다. 그리고 같은 <회상>일지라도 ≪동시≫는 절대시제 ‘과거’로서 다양한 동사가 나타나고, ≪선행≫은 상대시제 ‘과거’로서 주체동작동사가 나타난다. 또한 같은 <상태>일지라도 ≪동시≫는 절대시제 ‘과거’로서 정태동사가 나타나고, ≪선행≫은 상대시제 ‘과거’로서 내적정태동사나 정태동사가 나타나며, ≪선행 중단≫은 상대시제 ‘과거’로서 주체동작동사의 의지형이 나타난다.
연체절이 テイル형인 경우는 상위 의미 기능 중 ≪동시≫만이 나타나고, 하위 의미 기능은 <반복, 속성, 진행, 상태>가 나타나며, 모두 상대시제 ‘현재’이다. <반복>은 주체동작동사, <속성, 상태>는 내적정태동사, <진행>은 다양한 동사가 나타난다.
연체절이 テイタ형인 경우는 ≪동시, 선행, 선행 중단≫이 나타나고, ≪동시≫에서는 <진행>, ≪선행≫에서는 <회상, 반복, 완료, 상태>, ≪선행 중단≫에서는 <반복, 진행, 상태>가 나타난다. 그리고 같은 <진행>일지라도 ≪동시≫는 절대시제 ‘과거’로서 다양한 동사가 나타나고, ≪선행 중단≫은 상대시제 ‘과거’로서 주체동작·객체변화동사나 주체동작동사가 나타난다. 또한 같은 <반복>일지라도 ≪선행≫은 이장면(異場面)이며 주체동작동사나 내적정태동사가 나타나고, ≪선행 중단≫은 동일장면이며 주체동작동사가 나타난다. 게다가 같은 <상태>일지라도 ≪선행≫은 이장면, ≪선행 중단≫은 동일장면을 나타내는데, 모두 내적정태동사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In adnominal clauses, the meaning of '던(deon)' changes depending on tense and aspect, even when the same Japanese verb form is used. This study explores how '던(deon)' usage differs across Japanese verb forms ル, タ, テイル, and テイタ. To analyze this, the semantic functions are classified into two stages: the first stage categorizes them into ≪simultaneity≫, ≪precedence≫, ≪interrupted precedence≫, and ≪non-temporal≫, while the second stage divides them into , , , , , and .
For the ル form, all four higher-level functions appear. In ≪simultaneity≫, the lower-level functions include and , while ≪precedence≫ includes and . ≪interrupted precedence≫ includes , and ≪non-temporal≫ includes . Even for the same function like , ≪simultaneity≫ uses the relative present tense, while ≪interrupted precedence≫ uses the relative past tense.
For the タ form, ≪simultaneity≫, ≪precedence≫, and ≪interrupted precedence≫ appear. In ≪simultaneity≫, the lower-level functions include , , and ; in ≪precedence≫, they include , , and ; and in ≪interrupted precedence≫, appears. Even for the same , ≪simultaneity≫ uses the absolute past tense, while ≪precedence≫ uses the relative past tense. Similarly, for the same , ≪simultaneity≫ uses the absolute past tense, while ≪precedence≫ and ≪interrupted precedence≫ both use the relative past tense.
For the テイル form, only ≪simultaneity≫ appears, with functions like , , , and , all in the relative present tense. uses subject action verbs, and use internal stative verbs, and uses various verbs.
For the テイタ form, ≪simultaneity≫, ≪precedence≫, and ≪interrupted precedence≫ appear, with ≪simultaneity≫ showing , ≪precedence≫ showing , , , and , and ≪interrupted precedence≫ showing , , and . Even for the same function like , ≪simultaneity≫ uses the absolute past tense, while ≪interrupted precedence≫ uses the relative past tense.
This study shows how '던(deon)' usage differs depending on tense, aspect, and verb form in adnominal clause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Ⅲ. 일본어에 대응하는 「던」의 의미 용법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