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Complex Forms to Construct Bound(Dependent) Nouns in Korean Education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임진숙(Jinsuk Lim)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제26권 제2호, 83~10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에서 의존(성) 명사를 재정리하고 이를 기반으로 의존(성) 명사 구성 복합형태를 목록화하고 유형화하여 한국어 교수-학습의 기초적인 자료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의존(성) 명사와 의존(성) 명사 구성 결합형에 대한 앞선 연구물을 면밀하게 분석하여 한국어교육을 위한 목록을 추출하였다. 추출한 목록은 의존(성) 명사의 자립성과 비자립성을 기준으로 의존명사와 의존성 명사로 분리하고 어미에 따라 연결형, 종결형로 유형화하였다.
기존 연구 검토는 국어와 한국어 관점 연구를 비교 분석하여 한국어 학습자가 공동체 구성원으로 포함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진행하여 한국어 교육용 의존(성) 명사는 총 91개를 도출하였다. 기존연구에서 의존(성) 명사 구성의 복합형태 기존 연구를 분석하여 목록화한 항목을 나열하는 데만 치중한 점, 의존성 명사의 성격을 정확하게 밝히지 않고 모두 명사나 의존명사로 취급하여 목록을 정리하는 점, 항목 추출의 방대함은 존재하나 구체적인 교육 방안 마련을 위한 항목의 유형화가 진행되지 않은 점 등의 문제점을 밝혀냈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어교육용 의존(성) 명사 148개를 추출하여 의존명사 61개, 의존성 명사 87개로 나누어 의존(성) 명사를 분리하여 제시하였고, 의존(성) 명사 구성의 복합형태를 275개 추출하여 연결형 177개, 종결형 98개를 분리하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형태와 의미의 다양성과 항목의 방대함의 문제로 의존(성) 명사와 의존(성) 명사 구성 복합형태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해 교수-학습 자료를 마련하는 데에 기초적이고 실제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rearrange bound(dependent) nouns in Korean education and catalog and categorize complex forms to construct bound(dependent) nouns based on the results, providing basic data for Korean teaching and learning.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closely analyzed previous studies on bound(dependent) nouns and the combining forms to construct them and made a list for Korean education. The bound(dependent) nouns on the list were divided into bound and dependent nouns according to independence and non-independence and categorized into connective and sentence-closing ones according to endings.
In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the researcher compared and analyzed the ones on the viewpoints of native language and Korean and proceeded to help Korean learners get included in the community as members. A total of 91 bound(dependent) nouns were identified for Korean education. Based on them, the researcher analyzed previous studies on complex forms to construct bound(dependent) nouns and identified some problems. They focused only on enumerating items on their lists. They did not show the nature of dependent nouns clearly and treated them all as nouns or bound nouns to arrange the lists. They extracted a vast amount of items for their lists, but they did not categorize them to prepare specific educational plan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identified 148 bound(dependent) nouns for Korean education, divided them into 61 bound nouns and 87 dependent nouns to separate the bound(dependent) nouns, identified 275 complex forms to construct bound(dependent) nouns, and separated them into 177 connective ones and 98 sentence-closing ones.
The study will provide practical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Korean learners who have difficulties with learning bound(dependent) nouns and complex forms to construct them due to the diversity of their forms or meanings and the vastness of their items.
목차
Ⅰ. 서론
Ⅱ. 의존(성) 명사 구성의 기존 연구
Ⅲ. 의존(성) 명사 구성 복합형태의 목록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