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terminants of Knowledge-Based Maritime Cluster Location Evidenced by South Korea
- 발행기관
- 한국항해항만학회
- 저자명
- 이태휘(Tae-Hwee Le)
- 간행물 정보
- 『한국항해항만학회지』제49권 제2호, 255~261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해양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국문 초록
수도권과 지방의 격차는 지역 간 산업클러스터에서도 격차를 가져왔다. 이는 서울과 수도권 기반의 해사 클러스터와 지방 해사 클러스터 간 격차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GLS 분석과 패널회귀분석모형을 적용해 지식 해사 클러스터의 입지결정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거주 선원 수, 지역발전지수, 지역창조력잠재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식 해사 클러스터 구축을 위한 통제 변수이자 핵심 변수로 지역창조력잠재지수가 도출되었다. 또한 지역발전지수가 지식 해사 클러스터 구축에는 반대 방향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나타나, 지식 해사 클러스 구축을 위해서는 정주 여건으로 대변되는 지역 발전 정도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청년 인구를 유입할 수 있는 비즈니스 환경과 제반 여건 마련이 더욱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gap between metropolitan areas and regional areas has led to disparities in industrial clusters. This can be confirmed by comparing maritime clusters based in Seoul metropolitan area with those in regional areas. In this study, GLS analysis and panel regression modeling were applied to analyze determinants of the location of knowledge-based maritime clusters. Results indicated that the number of resident crew members, the regional development index, and the regional creative potential index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Notably, the regional creative potential index was identified as a control variable and a key factor for establishing knowledge-based maritime clusters.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the regional development index oper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establishment of knowledge-based maritime clusters. This suggests that rather than the level of regional development, which is represented by living conditions, it is more crucial to create a business environment and conditions that can attract a young popul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knowledge-based maritime clusters.
목차
1. 서 론
2. 선행 연구
3 연구 설계 및 모형 선정
4. 실증 분석
5.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