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construction of Taoist temples and the development of Taoism in the north during the Song, Jin and Yuan Dynasties : Focusing on Zezhou, Shanxi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 저자명
- Liu Jianing
- 간행물 정보
- 『역사문화연구』제93집, 397~41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국문 초록
송(金)·금(金)·원(元) 시기는 도교 발전에서 과거와 미래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사적 전환기이다. 택주(泽州)는 북방 도교의 장기적인 변화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역이다. 야외 조사와 궁관(宫观) 비문 문헌을 바탕으로 지역사적 관점에서 살펴보면, 택주 도관(道观, 도교 사찰)의 건립 과정은 북송 왕조의 도교 숭배와 금·원 시기의 전진교(全真道) 흥기가 택주 지역 사회에 미친 영향을 반영하고 있다. 택주 성내(城内) 도관 대부분은 북송 중후기에 관의 적극적인 추진과 관련이 있으며, 향촌(鄕村) 도관 대부분은 금·원 시기 전진교의 전파 결과이다. 금·원 시기의 전쟁과 사회적 혼란은 전진교 확산에 드문 기회를 제공하였다. 금·원 시기 택주에서 도관을 창건한 많은 도사(道士)와 여관(女冠, 여성 도사)들은 진유(贞祐) 전란 중에 여러 지역으로 유랑하다가 혼란이 끝난 후 고향으로 돌아와 전진교를 택주 지역에 전파하였다. 택주 지역에서는 구처기(丘处机)의 용문파(龙门派)와 유처현(刘处玄)의 수산파(随山派)가 비교적 큰 영향을 끼쳤으며, 학대통(郝大通)의 반산파(盘山派)와 왕처일(王处一)의 유산파(嵛山派)도 일정한 영향을 미쳤다.
영문 초록
The Song, Jin, and Yuan dynasties represented a pivotal historical period in the development of Daoism, serving as a transitional phase between past traditions and future evolutions. Zezhou was a typical region in northern China reflecting the long-term transformations of Daoism. Based on field investigations and the analysis of inscriptions on temple steles, this study approaches the development of Zezhou Daoist temples from a regional historical perspective, highlighting the influence of the Northern Song Dynasty's advocacy of Daoism and the rise of Quanzhen Daoism during the Jin and Yuan periods on Zezhou's local society.
The construction of urban Daoist temples in Zezhou was primarily driven by the official efforts during the mid-to-late Northern Song period, whereas the establishment of rural Daoist temples was largely the result of the spread of Quanzhen Daoism during the Jin and Yuan periods. The wars and social turmoil of the Jin-Yuan transition provided a rare opportunity for the dissemination of Quanzhen Daoism. Many Daoist priests and nuns who established temples in Zezhou during the Jin and Yuan periods had migrated across regions during the Zhenyou (贞祐) military turmoil and, after the conflicts subsided, returned to their hometowns, bringing Quanzhen Daoism back to Zezhou.
For Zezhou, the Longmen (Dragon Gate) School of Qiu Chuji and the Suishan (Mount Sui) School of Liu Chuxuan exerted significant influence, while the Panshan (Mount Pan) School of Hao Datong and the Yushan (Mount Yu) School of Wang Chuyi also had a certain degree of impact.
宋金元时期是道教发展承前启后的关键性历史时期,泽州是北方道教长时段演变的典型区域。在田野考察和宫观碑刻文献基础上,从区域史视角出发,泽州道观兴建过程体现了北宋王朝崇道与金元全真道的兴起对于泽州地方社会的影响。泽州在城道观绝大部分与北宋中后期官方推动有关,而在乡道观绝大部分是金元时期全真教传播的结果。金元之际的战乱和社会动荡为全真教的传播提供了难得的机遇,金元时期在泽州创建道观的众多道士和女冠有相当部分都是在贞祐兵火中流寓各地,动乱结束之后返回家乡,把全真教带回泽州地区。对泽州地区来说,丘处机的龙门派和刘处玄的随山派影响较大,郝大通的盘山派与王处一的嵛山派也有一定影响。
목차
一、问题的提出
二、在城道观的兴建与泽州官方道教的发展
三、乡村道观的兴建与全真教在泽州的传播
四、结论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