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Current Statues of Housing Welfare for Migrant Workers and Development Methods
- 발행기관
- K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양호열(Ho-Yeol Yang)
- 간행물 정보
- 『사회과학리뷰』제9권 제4호, 383~40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농업 분야에 종사하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주거복지 현황을 분석하고 그들의 주거복지 문제를 해결할 발전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달성을 위하여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에 거주하는 외국인 근로자 95명, 계절제 근로자 128명 가운데 설문 조사에동의한 외국인 근로자 29명, 계절제 근로자 21명을 대상으로 자기 기재방식의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 조사와는 별도로 국내외 외국인 근로자 주거 관련 법규 및 정책 분석, 국내 뉴스검색,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외국인 근로자 주거복지에 대한 대응실태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장수군에거주하는 외국인 근로자의 주거형태는 가설건축물이 전체의 54%, 빈집 22%, 기숙사 16%, 농협 방문자센터 8%로 나타났다. 주거 내 시설물의 상황은 숙소 내 방범용 CCTV, 소화기/화재경보기, 욕실 설비, 전기안전시설 등은 근로기준법의 기준에 충족하였으나, 보안장치(세콤 등)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약 84%로 나타났다.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본 논문에서는 외국인 노동자들의 일터가 농업현장이라는 ‘특수성’과 외국인 근로자의 국내 체류의 ‘임시성’ 등을 고려한 합리적인 주거환경 형태를 제안하고, 또한 이들의 주거복지를 위해 지방자치단체 또는 지역농협에서 시행 가능한실천적이고 정책적인 측면의 대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residential welfarefor foreign workers in the agricultural field and propose development measures to solve theirresidential welfare problem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on 29 foreign workers and 21 seasonal workers who agreed to the surveyamong 95 foreign workers and 128 seasonal workers residing in Jangsu-gun, Jeonbuk-do. Separately from the survey, we analyzed laws and policies related to housing for foreignworkers at home and abroad, searched domestic news, and analyzed the state and localgovernments' response to housing welfare for foreign worker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sidential type of foreign workers living in Jangsu-gun was found to be temporary buildingsfor 54% of the total, empty houses for 22%, dormitories for 16%, and Nonghyup VisitorCenter for 8%. As for the facilities in the residence, security CCTV, fire extinguishers/firealarms, bathroom facilities, and electrical safety facilities in the accommodation met thestandards of the Labor Standards Act, but security devices (SECOM, etc.) were not installedin about 84% of cases. appear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paper proposes areasonable residential environment that takes into account the 'speciality' of foreign workers'workplaces being agricultural fields and the 'temporary nature' of foreign workers' stay in thecountry, and also proposes a form of local autonomy for their housing welfare. Presentedpractical and policy alternatives that can be implemented by organizations or local agriculturalcooperatives.
목차
Ⅰ. 서론
Ⅱ. 외국인 근로자의 국내 체류실태와 국내·외 외국인 근로자 주거 관련 법규 및 정책 현황
Ⅲ. 연구의 범위 및 방법
Ⅳ. 결과 및 고찰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고용 노동부 연구용역보고서
- 국가인권위원회 연구용역보고서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전북발전연구원 연구보 고서
- 문화교류와 다문화 교류
- 유럽헌법연구
- 지역 재단리포트
- 법학논총
- 한국이민 정책학보
- 이화젠더법학
- 이주노동자의 주거권 보장을 위한 심포지엄 자료집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