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빅데이터를 활용한 노인 주거 뉴스 기사 분석

이용수 59

영문명
Big Data Analysis on News Articles about Elderly Housing
발행기관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저자명
김도연(Do Yeon Kim)
간행물 정보
『생활과학연구논총』제28권 제3호, 139~155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Background/Objectives: As Korea enters an aged society, housing issues for the elderly have become a significant social concern. The housing stability of older adults is closely linked to their health, social relationships, and quality of life, making it a critical condition for a dignified old age. This study aims to analyze news articles related to elderly housing, identifying main key keywords and their connections to establish the fundamental issues surrounding elderly housing.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big data analysis techniques based on news article data. A total of 1,324 news articles related to elderly housing, collected from 1990 to 2024, were used for analysis. In the final analysis, a total of 6,993 words were utilized. Term frequency and 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 analyses were conducted, and co-occurrence network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VOSviewer.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that keywords such as “elderly”, “65 years old”, “silver town”,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showed high frequency and importance. The co-occurrence network analysis identified five key topics related to elderly housing: senior-specific housing and welfare services, housing welfare and rental housing policies, elderly welfare policies from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ilver town revitalization policies, and community-based integrated care policies. These findings highlight that most discussions focus on major policies and systems related to elderly housing, with government and local authorities playing a central role. Conclusion/Implications: Elderly housing requires integrated support beyond just providing living spaces. Active collabo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private sector, and local communities is essential. Future policies should focus on customized housing models and community-based services, while preventing social isolation.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도시재생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가정과삶의질연구
  • 한국건설 관리학회논문집
  • 열린유아교육연구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 국토계 획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한국사회학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대한건축 학회논문집
  • 부동산학보
  • 한국주거학회 춘계학술발표 대회
  • 국토 연구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KISTI 지 식리포트
  •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 가족과 문화
  • 한국 주거학회논문집
  • 한국주거 학회논문집
  • 한국생활과학회지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도연(Do Yeon Kim). (2024).빅데이터를 활용한 노인 주거 뉴스 기사 분석. 생활과학연구논총, 28 (3), 139-155

MLA

김도연(Do Yeon Kim). "빅데이터를 활용한 노인 주거 뉴스 기사 분석." 생활과학연구논총, 28.3(2024): 139-155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