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렘 콜하스 건축의 보이드 특성을 적용한 패션디자인 개발

이용수 48

영문명
Development of Fashion Design Applying the Void Characteristics of Rem Koolhaas’s Architecture
발행기관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저자명
한옥희(Ok-hee Han) 최윤미(Yoon-mi Choi)
간행물 정보
『생활과학연구논총』제28권 제3호, 111~127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Background/Objectives: This study focuses on a design approach that prioritizes the void, or empty space, between the garment and the human body in fashion design. Clothing is worn on a moving human body, creating a changing space. As space and form in garments are inseparable, studying the void—the space between the garment and body—is essential for advanced form design. This study considers void as the main factor, and intends to understand the shape of clothing centering on void and propose a new design method. Methods: The research methodology consists of theoretical study and design development. The theoretical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the void in Rem Koolhaas' architecture and its philosophical implications, extracting relevant characteristics. These characteristics are then analyzed in relation to fashion design through case studies of works by Issey Miyake and Julian Roberts. Design development uses geometric plane patterns and Subtraction Cutting to develop six works by referring to the analysis of void fashion cases. Results: The void characteristics of Rem Koolhaas’ architecture were applied to void fashion design with void priority, indeterminate openness, ambiguous boundaries and heterogeneity, generative multiplicity, and wearer's design completion. By using geometric plane patterns that do not follow the shape of the human body and Subtraction Cutting, voids with uncertain shapes are considered first. By using various decorative methods, a void with ambiguous and heterogeneous boundaries, a void of a generative multiplicity whose shape changes with movement and flexibility, and a void fashion design in which the style is completed by the wearer were developed. Conclusion/Implicat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expanding the perspective on form design by exploring the void—the free space between the body and the garment-and developing new methods for designing innovative forms.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기초조형학연구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 서울
  • 복식
  • 홍익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동양예술
  • 한국디자인포럼
  •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 기초조형학연구
  • 복식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존재론연구
  • 국민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 기초조형학연구
  •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술과 교육
  •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글로벌문화콘텐츠
  •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 서울
  •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 호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서울
  • 광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복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옥희(Ok-hee Han),최윤미(Yoon-mi Choi). (2024).렘 콜하스 건축의 보이드 특성을 적용한 패션디자인 개발. 생활과학연구논총, 28 (3), 111-127

MLA

한옥희(Ok-hee Han),최윤미(Yoon-mi Choi). "렘 콜하스 건축의 보이드 특성을 적용한 패션디자인 개발." 생활과학연구논총, 28.3(2024): 111-127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