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복과 전통 조각보를 모티브로 한 데페이즈망 의상 개발 제안 연구

이용수 19

영문명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épayment Garments with the Motif of Hanbok and Traditional Jogakbo
발행기관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저자명
김혜은(Hye Eun Kim)
간행물 정보
『생활과학연구논총』제28권 제3호, 83~100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Background/Objectives: In the modern fashion market, designs utilizing traditional costume elements are gradually gaining attention. Departing from everyday contexts, the concept of dépaysement places them in new environments.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potential fusion of tradition and modernity through a case study that applies traditional elements of Hanbok. The research goal is to develop designs that suggest new directions in fashion design by integrating traditional elements into modern clothing. Methods: Based on theoretical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dépaysement are analyzed, and recent dépaysement garments are examined. The aesthetic and dépaysement elements of Hanbok are analyzed, and based on this analysis, traditional adaptive costumes that can be applied to dépaysement garments are developed, designing creative attire tailored to modern sensibilities. These designs are presented using CLO software. Results: The research results introduce nine final design outcomes that reinterpret traditional elements of Hanbok in a modern context through the dépaysement of distortion, combination, displacement, and absence, aiming to create unfamiliarity and novelty. These designs attempt to present distinctive attire in contemporary contexts by distorting and combining the familiar attire of Hanbok.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developing refined Westernized garments that reflect global trends while modernizing and globalizing Hanbok. It was possible to create restrained, refined Surrealistic dépaysement garments suitable for everyday wear.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과 및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복식
  • 창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경 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술사논단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기초조형학연구
  •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 복식
  • 디자인지식저널
  • 복식
  • 한국디자인포 럼
  • 복식문화연구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패션비즈니스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한복문화
  • 복식
  • 한국실내 디자인학회 논문집
  •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 디지털융복합연구
  • 복식
  • 복식문화연구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인터내셔널 아트디자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혜은(Hye Eun Kim). (2024).한복과 전통 조각보를 모티브로 한 데페이즈망 의상 개발 제안 연구. 생활과학연구논총, 28 (3), 83-100

MLA

김혜은(Hye Eun Kim). "한복과 전통 조각보를 모티브로 한 데페이즈망 의상 개발 제안 연구." 생활과학연구논총, 28.3(2024): 83-100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