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the Social Media-based Content Creation Course to Enhance University Students' Information Storytelling Skills
- 발행기관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 저자명
- 김은정(Eun Jung Kim)
- 간행물 정보
- 『글로벌문화콘텐츠』제61호, 61~8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정보 스토리텔링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소셜미디어 기반 콘텐츠 창작 교과목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와 선행 사례를 분석하여 메타 리터러시와 .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핵심 주제를 추출하여
학습 내용을 선정하고 3PBL 모델을 기반으로 커리큘럼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가 제안하는 정보 스토리텔링 교육은 소셜
미디어 플랫폼 중 콘텐츠 퍼블리싱이 쉬운 블로그를 대상으로 콘텐츠 지형과 생성 원리를 학습하고, 이를 직접 제작하고
일반 소비자들에게 공개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콘텐츠 창작 교과목과 차별성을 갖는다. 학생들은 콘텐츠
창작자로서 콘텐츠 소비자와의 소통을 경험할 수 있는 교육을 통해 콘텐츠 크리에이터로서의 새로운 정체성을 얻게
되며, 콘텐츠 창작의 기쁨과 의미를 깨닫게 된다. 이런 과정은 학생들이 지속적으로 콘텐츠 창작을 하게 만드는 동인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는 메타 리터러시와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융합하여 3PBL 모델 기반의 정보 스토리텔링 교육 방법을 제안하였
다. 이 연구가 대학의 콘텐츠 창작과 연계된 융합 교육을 개발하는 데 있어 시사점을 제공하여 보다 효과적인 교육내용과
방식의 개선에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 media-based content creation course to enhance university
students' information storytelling skills, and its purpose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future development of college information
storytelling classes. The research method primarily analyzed literature and precedents to extract the core topics
of metaliteracy and digital storytelling. Based on this, a curriculum applying the PBL teaching method was designed.
The information storytelling education proposed in this study is unique in that it is designed to allow students to learn
the content landscape and creation principles of blog platforms, and to experience direct production and publishing. Students
will have new experiences as content creators through education that allows them to communicate with content consumers
as content creators, and realize the joy and meaning of content creation. This process will act as a driving force for students
to continuously create content. This study proposed a 3PBL-based information storytelling education method by combining
metaliteracy and digital storytelling.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contribute to the innovation of college educatio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글로벌문화콘텐츠
- 한국언론학보
- 리터러시연구
- 한빛비즈
- 교육정보미디어연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 글로벌문화콘텐츠
- 황금가지
- 해냄
- 한국언론학보
- 커뮤니케이션북스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글로벌문화콘텐츠
- 살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