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Prepar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Contact Lens containing Hydrophilic Side-Chain
- 발행기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 저자명
- 김선민(Sun Min Kim) 심상연(Sang-Yeon Shim)
- 간행물 정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제41권 제5호, 1067~1074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화학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31

국문 초록
2-hydroxyethyl methacrylate(HEMA)와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EGDMA) 그리고di(ethylene glycol) ethyl ether acrylate(DGA)와 polyethylene glycol methacrylate(PGM)를 이용하여 다양한 콘택트렌즈를 제조하였다. 그 결과, DGA함량이 증가할수록 렌즈의 함수율이 증가하였고 접촉각도 증가하였다. 인장 강도를 측정한 결과에서는 DGA함량이 증가할수록 강도는 감소하였다. DGA를 함유한 콘택트 렌즈는 친수성 설질을 나타내므로 단백질 흡착에 대한 저항성이 HEMA만 사용했을 때 보다 DGA함량이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렌즈의 미세 상분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렌즈 단면을 SEM으로 측정한 결과 표면이 균일하게 일정하며 상분리 현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열 중합대신 에너지효율이 높은 광중합을적용한 결과, PGM-1의 경우 40초안에 80%의 전환율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A series of contact lens were prepared from 2-hydroxyethyl methacrylate(HEMA),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EGDMA) and di(ethylene glycol) ethyl ether acrylate(DGA) or polyethylene glycol methacrylate(PGM). When the content of DGA was increased, there was a tendency of water absorbance to increase and contact angles to increase. In case of tensile strength, the strength decreased when the content of DGA increased. Contact lens containing DGA had comparatively hydrophilic property, thus, showed better protein resistance properties than HEMA-based hydrogel. The cross-section morphology of contact lens was examined by SEM to check whether or not micro-separation occurs. As a result, overall surface appeared to be smooth and uniform and couldn’t find any phase separation. Photo-polymerization was also applied instead of thermal polymerization to enhance the energy efficiency. As a result, the degree of reaction of PGM-1 was 80% within 40 s.
목차
1. 서 론
2. 실 험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