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on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 저자명
- 김지현(Ji-Hyu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제41권 제3호, 685~693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화학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 임상실습스트레스 및 진로정체감 정도를 파악하고, 진로정체감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U광역시와 G광역시 소재 2개 대학 간호학과 4학년을 대상자로 선정했다. SPSS 21.0 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긍정심리자본은 진로정체감과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임상실습스트레스는 진로정체감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요인은 임상실습스트레스, 전공만족도, 긍정심리자본, 성별이였으며 설명력은 31%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긍정심리자본을 향상시키고 임상실습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to understand the degree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and to understand the factors influencing career identity. The fourth graders of the department of nursing at two universities located in U City and G City were selected as subject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21.0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identity,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career identity. The factors influencing career identity were clinical practice stress, major satisfacti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gender,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31%.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educational programs that can improv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reduce clinical practice stress as a strategy to improve the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목차
1. 서 론
2. 연구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