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zing the Efficiency of Grain Handling Ports in Korea Using the Super-SBM Model
- 발행기관
- 한국항해항만학회
- 저자명
- 심민섭(Min-Seop Sim) 이창환(Chang-Hwan Lee) 김율성(Yul-Seong Kim) 남정우(Jung-Woo Nam)
- 간행물 정보
- 『한국항해항만학회지』제48권 제4호, 294~302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해양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국문 초록
글로벌 양곡시장은 COVID-19, 기상이변 및 자연재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인하여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양곡수급의 불안정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최근 지가상승과 제분·사료공장에 대한 민원의 제기로 양곡화물 연관업체는 경기도 지역에서 경기도 남부권, 충청권 등으로 이전하였다. 이러한 국내외 양곡시장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국내 양곡부두는 유연하게 반응하여 제반시설을 효율적으로 운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uper-SBM 모형을 이용한 국내 양곡부두 효율성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Super-SBM 모형 CCR 분석결과 효율성 값이 1.000보다 높아 효율적으로 분석된 양곡부두 항만은 평택항, 군산항으로 나타났다. 둘째, Super-SBM 모형 BCC 분석결과 효율성 값이 1.000보다 높아 효율적으로 분석된 양곡부두 항만은 부산항, 평택항, 군산항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양곡전용부두 항만의 운영계획과 관련된 다양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e risks in global grain markets have increased due to COVID-19, extreme weather, natural disasters, and the Russia-Ukraine conflict. Additionally, in Korea, the locations for grain manufacturing have shifted owing to various factors. Despite these environmental changes, grain handling ports in Korea are limited in their capacity to respond promptly, resulting in operational inefficiencies. This study clarified changes in grain throughput and analyzed the efficiency of grain handling ports using the Super-SBM model. It suggested that the ports in Pyeongtaek and Gunsan were the most efficient, based on CCR and BCC results in 2022. These findings could provide several insights related to port operating plans for port operators, managers, and developer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설계
4. 실증 분석
5.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