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Game Design Component Model using AHP
- 발행기관
- 한국컴퓨터게임학회
- 저자명
- 남기덕(Ki Teok NAM)
- 간행물 정보
-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제37권 1호, 51~6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컴퓨터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국문 초록
상용 게임 엔진의 발달로 인해 게임 제작에서 기술력은 점차 평준화되고 있고, 게임 디자인능력이 성공의 열쇠로 부각되고 있다. 재미있는 게임이란 무엇인지 이해하기 위해서는 게임을상세 분석해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게임 제작 실무에서도 도움이 되는 게임 디자인 구성요소 모델을 제시하여 게임 디자인 과정에서 체계적인 게임 디자인이 이뤄지도록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 게임 디자인 구성요소에 대한 선행 연구를 통해 게임 디자인 구성요소 계층 모형을 설계했다. 모형은 5개의 상위계층과 15개의 하위계층으로 구성됐다. 설계된 모형을 AHP 연구 방법론을 채택하여 싱글 플레이 게임과 멀티 플레이 게임에 적용하여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비교분석했다. 싱글 플레이 게임에서 중요한 구성요소는 조작, 규칙, 게임 플레이, 스토리텔링, 캐릭터로 나타났으며, 멀티 플레이 게임에서 중요한 구성요소는 밸런스, UI, 규칙, 조작, 게임 플레이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mercial game engines, technical skills in game production are gradually being standardized. Game design ability is emerging as a key to success. In order to understand what a fun game is, it is necessary to analyze and understand the game in detai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game design component model that is helpful in game production practice and provide guidelines to ensure systematic game design during the game design process. This study designed a game design component hierarchy model through prior research on domestic and foreign game design components. The model consisted of 5 upper classes and 15 lower classes. The designed model was adopted using the AHP research methodology and applied to single-player games and multiplayer games to compare and analyze importance and priorities. Important components in single-player games were operation, rules, game play, storytelling, and characters, and important components in multiplayer games were balance, UI, rules, operation, and game play.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내용
4. 결론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