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urrent status of secondary social studies teachers’ lessons related to social minorities
- 발행기관
-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 저자명
- 이정우(Jungwoo Lee)
- 간행물 정보
- 『현장수업연구』제5권 제1호, 157~18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1.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현재 중등학교 사회과 교사가 사회적 소수자와 관련된 수업을 할 때 어떤 경험을 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교육과정-교과서-수업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에서 사회적 소수자 관련 내용을 어떻게 다루는 것이 좋을지 그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설문조사와 면담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는 전국의 중등학교 사회과 교사 66명이, 면담에는 5명이 참여하였다. 설문조사와 면담 결과를 종합하면, 현행 중등학교 사회과 교사는 사회적 소수자에 속하는 학생, 사회적 소수자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지닌 학생에 대한 조심스러움으로 인해 교과서 의존적이면서 논쟁을 최대한 피하는 ‘건조한’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연구 결과가 시사하는 바를 사회과 교육과정, 교과서 측면에서 다음과 같이 논의하였다. 첫째, 사회과 교육과정과 관련해서는 사회적 소수자 관련 지도의 지침을 보다 상세하게 제시할 것을 제안하였다. 사회적 소수자 관련 수업에서 ‘유의’ 혹은 ‘지양’해야 하는 것을 넘어서, ‘어떻게’ 접근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한 안내가 필요하다. 대안적인 접근 방법에 대한 1-2줄의 추가 설명을 제시하고, 필요한 경우 교사 연수 혹은 자료집 개발 등의 방법을 통해서 해당 내용을 더 깊이 있게 접근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둘째, 사회과 교과서가 ‘가치문제’를 다루는 방식을 점검하고 수정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현행 교과서는 사회과 가치교육의 방법 중 언어적 교훈주의에 해당하는 접근 방법을 취하고 있다. 가치분석 접근법이나 배려와 감사의 윤리교육과 같은 다양한 가치교육 방법을 통해 가치문제에 접근할 수 있도록 교과서 본문과 탐구활동이 재구조화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urrent experiences of secondary school social studies teachers in teaching lessons related to social minorities, and to explore ways to improve the way social minorities are addressed in the curriculum, textbooks, and lessons. To achieve these goals, I conducted a survey and interviews. 66 secondary school social studies teachers nationwide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5 in the interview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and interviews, the current secondary school social studies teachers are teaching “dry” classes that rely on textbooks and avoid controversy as much as possible due to their caution towards students who belong to social minorities and students who have negative attitudes towards social minoritie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s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it is suggested that more detailed guidelines for teaching about social minorities should be provided. Secondly, I suggest that the way in which social studies textbooks address ‘values issues’ needs to be reviewed and revi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