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멀티미디어 활용 수정된 그림책 읽기 중재가 보완대체의사소통 사용 중증 지적장애 중학생의 읽기 능력과 자발적 표현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9

영문명
The Effects of Reading Intervention using Picture Book Adapted by Multimedia on the Reading Ability and Spontaneous Expression of a Middle School Student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uses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정예설 한경임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23권 제2호, 49~7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수정된 그림책 읽기 중재가 보완대체의사소통 사용 중증 지적장애 중학생의 읽기 능력과 자발적 표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은 일반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중증 지적장애 중학생 1명이다. 연구 설계는 읽기 유창성, 사실 이해력, 추론 이해력의 3가지 행동간 중다간헐 기초선 설계를 적용하였다. 직접교수법을 적용한 그림책 읽기 중재를 구안하였으며, 파워포인트로 수정한 그림책, 의사소통판, 세이펜을 중재 도구로 사용하였다. 중재는 참여 학생이 소속된 특수학급의 수업시간에 기초선 자료를 수집한 후 주 3∼5회 실시하였다. 읽기 중재 후에는 제작한 읽기 평가지와 자발적 표현 기록지를 통해 참여 학생의 읽기 능력과 자발적 표현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중재 과정 중 2회기에 걸쳐 일반화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중재 종료 2주 후 3회기에 걸쳐 유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수정된 그림책 읽기 중재는 보완대체의사소통 사용 중증 지적장애 중학생의 읽기 유창성, 사실 이해력, 추론 이해력의 정반응률을 향상시키며 읽기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수정된 그림책 읽기 중재는 보완대체의사소통 사용 중증 지적장애 중학생의 자발적 표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중증 지적장애 중학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활용 수정된 그림책 읽기 중재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effects of reading intervention using adapted picture book via multimedia on the reading ability and spontaneous expression of a middle school student who has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uses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Method: The participant was a 14-year-old boy with an intelligence quotient (IQ) of 44 and the equivalent receptive vocabulary age of a 4.5-year-old. The study focused on the multiple probe baseline across behaviors including reading fluency, factual reading comprehension, and inferential reading comprehension.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by direct instruction through adapted books using multimedia. The participant used Saypen device and line-drawing symbols as an AAC system. Results: First, the intervention using AAC and adapted books by multimedia was effected on the reading ability of a middle school student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the intervention was effected on spontaneous expression of the participant.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lots of information on the intervention using AAC and adapted book based on multimedia for student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예설,한경임. (2021).멀티미디어 활용 수정된 그림책 읽기 중재가 보완대체의사소통 사용 중증 지적장애 중학생의 읽기 능력과 자발적 표현에 미치는 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 23 (2), 49-75

MLA

정예설,한경임. "멀티미디어 활용 수정된 그림책 읽기 중재가 보완대체의사소통 사용 중증 지적장애 중학생의 읽기 능력과 자발적 표현에 미치는 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 23.2(2021): 49-75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