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urrent investigation of Driving Rehabilitation Program for Disabled Persons at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from 2019 to 2021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박경영 정민예 최준수 정유경 김정란 공명자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제27권 제3호, 115~13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근 3년간 국립재활원 장애인 운전재활 프로그램에서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실태를 조사하
는 것이다. 국립재활원에서 운영하는 운전재활 프로그램은 운전체험과 운전교육 프로그램이 있으며, 2019
년부터 2021년까지 운전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한 621명, 운전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1.042명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장애관련 특성, 운전관련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또한, 운전체험과 운전교육 프로그램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운전재활프로그램 대상자는 주로 경제활동과 여가활동을 위해 운전재활 프로그램에 참여하고자 하였다.
교육을 받은 대부분의 대상자는 지체장애인과 뇌병변장애인이었고, 주로 서울과 경인지역에 편중되어
있었다. 또한, 운전체험 프로그램 참여자 중 운전교육이 필요한 경우가 42.5%였고, 운전교육 대상자의
64.9%는 운전면허 소지자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전국 각 지역의 운전재활 프로그램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필요가 있으며, 국립재활원과 각 지역 장애인운전지원센터, 운전면허시험장의 역할과 특성화된 교육
프로그램이 마련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추후 지속적인 운전재활 프로그램의 개선을 위해
디지털 기반의 안정적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situation using data collected from
the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s driving rehabilitation program for the disabled over
the past three years. We analyzed the collected data of 621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driving rehabilitation experience program and 1,042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driving
rehabilitation education program from 2019 to 2021, and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driving rehabilitation program. The paired t-test were conducted to compare changes before and after driving rehabilitation
education program and the required time for driving training.
According to results of this study, the most of subjects selected driving rehabilitation
program to participate in economic and leisure activitie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brain
lesions. 42.5% of driving rehabilitation experience subjects, needed driving training. 64.9%
of driving rehabilitation education subjects were driver's license holders, and as a result
of comparing before and after driving training,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all driving
ability, and driving training required time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9.96 hours to 3.52
hours. In order to increase accessibility to driving rehabilitation program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role of the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driving support centers for the
disabled in each region, and specialized training programs. Als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digital-based stable database to improve continuous driving rehabilitation program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