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ase Study for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Sharing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through Credit Transfer: Focusing on US and European Cases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이보경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7권 제3호, 41~5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국문 초록
학령인구 감소와 재정 악화로 한국의 대학 교양교육은 도전적인 상황에 직면했다. 교양교육과정의 토대가 기초학문 분야 학과도 다수 통폐합되어, 열악한 교양교육의 상황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 교양교육 중심의 공유대학 모형은 제한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개방성과 투명성을 확대하여 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 양질의 과목 공유는 공유대학 성공의 핵심 요소이다. 그러나 자생적으로 추진된 국내 교양 교과목 공유 시도는 동력을 잃고 있다. 이 연구는 미국, 유럽의 과목개방, 학점이전, 교양교육과정 공유의 사례를 탐구하여, 교양교육 중심의 공유대학의 정착에 요구되는 정책적 시사점과 실천적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General education at universities is facing a challenging situation, due to the declining school-age population and lack of finances in Korea. A number of departments in the fundamental academic areas, which are the foundation of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have been closed or integrated with other departments, making the situation even worse for education. A shared university model centered on general education can be an alternative that can efficiently utilize limited resources and enhance the quality of education by expanding openness and transparency. Sharing high-quality subjects is a key factor in the success of shared universities. However, attempts to share general education subjects, which were promoted by endogenous reasons, are losing momentum. This study seeks implications and practical methods for the establishment of a shared university centered on general education by exploring cases of credit transfer and statewide general education core curricula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목차
1. 서론
2. 교양교육과정 공유가 필요한 배경
3. 교육과정과 교과목 공유 사례
4. 교양교육 중심의 공유대학운영에 대한 시사점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