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Subjective Health Status on Life Satisfaction of Middle and Old Aged Women: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생명연구』제64집, 169~18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여성 중고령자의 주관적 건강이 삶의 만족도에서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고용정보원의 ‘고령화 연구패널’ 7차년도 자료(2018년) 중 여성에 해당하는 3,570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구조방정식모형의 분석을 통해 변인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 중고령자의 주관적 건강요인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 중고령자의 주관적 건강요인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는 우울에 부분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여성 중고령자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subjective health in middle and old aged women on their life satisfaction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mediating effect analysis, using the data of 3,570 elderly women in the 7th wave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data.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subjective health in middle and old aged women, the higher their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effect of subjective health in middle and old aged women on their life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partially mediated by depression. Based on these findings,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life satisfaction of middle and old aged women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