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Verification of the Difference in Effectiveness of Static Plank Exercise by Motion: Focusing on EMG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 저자명
- 김유신(You-Si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제39권 제2호, 335~339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공학 > 화학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4.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정적 플랭크 운동의 동작 차이에 따른 코어근육의 근활성도를 비교하는 것이 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J”대학교 20대 남성 1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고(연령, 23.20±0.65 세; 신장, 174.54±1.51 cm; 체중, 70.00±2.24 kg; 신체질량지수, 22.94±0.51 kg/m 2 ), 4가지의 풀, 엘보우, 사이드및 리버스 정적 플랭크 동작을 수행하였으며, 근전도 분석을 위한 표면전극 부착 부위는 신체 근육의 우측 복직근, 외복사근, 광배근 및 척추기립근으로 설정하였다. 본 실험 결과, 광배근과 척추기립근의 근활성도는 리버스 플랭크 동작 시 가장 높게 나타났고(p<.001), 복직근과 외복사근의 근활성도는 엘보우 플랭크 동작 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1).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정적 플랭크 동작 시 효과적인 운동 프로그램의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comparison of core muscle activities according to different performance in static Plank exercise. Ten “J” University’s males(age, 23.20±0.65 years; height, 174.54±1.51 cm; body mass, 70.00±2.24 kg; and BMI, 22.94±0.51 kg/m 2 ) completed this study as the subjects. Four type’s static Plank motions were performed(full Plank, FP; elbow Plank, EP; side Plank, SP; reverse Plank, RP). For the EMG analysis, we measured the core muscle activities of right side on the rectus abdominis(RA), external oblique(EO), latissimus dorsi(LD), and erector spinae(ES). This research’s results were as follows. LD and ES muscle activities were greatest during RP(p<.001). RA and EO muscle activities were greatest during EP(p<.001). Therefore, this results are anticipated to serve as basic data for static Plank performance applications in effective exercise programs.
목차
1. 서 론
2. 실 험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