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고학과 자연과학으로 밝히는 옛 음식의 연구 방법

이용수 578

영문명
Unveiling the Palaeodiet through Archaeology and Science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신지영(Shin, Ji Young) 오승환(Oh, Seung Hwan)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한국상고사학보 제115호, 5~3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2.28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옛 사람의 음식은 고고학의 주요 연구대상이며, 당시의 식생활뿐만 아니라 영양상태, 생계경제, 질병, 계층, 기후 등 사회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다. 하지만 매장환경에서음식은 오랫동안 남아있지 않으므로 그 정보를 밝히기 위해서는 식료의 획득부터 가공, 보관, 섭취, 폐기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에 대한이해와 자연과학과의 협업이 중요하다. 고고학에서는 실험고고학의 방법으로 토기의 조리흔적, 부뚜막에서의 조리방식 등을 밝혀냈다. 하지만 고고학의 연구 방법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식물성 식료와 동물성 식료의 경우 DNA 분석, 안정동위원소 분석, 단백질 질량분석 등의 도움으로 상세한 규명이 가능하다. 토기 등에 남아있는 음식잔존물 분석은 음식물의 성격이나 조리정보까지 구체적으로 밝혀주고 있다. 이제는 크로마토그래피법과 질량분석법의 발달로 화학 지문의 추적도 가능해졌다. 음식잔존물의 지질, 단백질, 탄수화물의 바이오마커 분석도 옛 음식 연구를 더욱 치밀하게 해준다. 특히 인체 조직에 기록된 탄소와 질소의 안정동위원소 비율은 생전에 섭취한 식료와 식생활 정보를 복원하는데 많은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에는 황, 수소, 칼슘, 아연 동위원소로도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옛 음식 연구는 고고학뿐만 아니라 화학, 생물학 등 자연과학과의 협업으로 옛 사람이섭취한 식료자원과 이것을 어떻게 이용하였는지에 대해 앞으로 더 많은 정보를 밝혀낼 수 있을것이다.

영문 초록

What people ate in past societies provides invaluable information of various contexts, such as on diet, nutrition, subsistence, disease, social status, and climate. However, food is rarely found in the burial environmen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events that occurred in past food systems (e.g., production, preparation, storage, consumption, and disposal) and to collaborate with the natural sciences. Traces of cooking in pottery and cooking methods used with furnaces have been revealed through experimental archeology. However, archaeological methods alone have limitations. Floral and faunal remains in food have been identified with the help of DNA analysis, stable isotope analysis, and peptide mass fingerprinting. Food residues left on pottery reveal detailed information on both the food and cooking methods. Even chemical fingerprints can be traced using state-of-the-art chromatography and mass spectrometry. The ability to trace the biomarkers of lipids, proteins, and carbohydrates in food residues has made the study of ancient foods more sophisticated. In particular, the stable carbon and nitrogen isotopes recorded in human bones have significantly assisted the reconstruction of diets. Recently,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examine isotopes of sulfur, hydrogen, calcium, and zinc in such analyses. Archaeological research does not consist of a single strand of analysis. It consists of multidisciplinary analyses performed in parallel, which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We expect to extract invaluable information on the food and palaeodiet of ancient societies through collaboration with natural sciences such as chemistry and biology as well as archaeology

목차

I. 머리말
II. 옛 음식을 밝히는 연구 방법
III.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지영(Shin, Ji Young),오승환(Oh, Seung Hwan). (2022).고고학과 자연과학으로 밝히는 옛 음식의 연구 방법. 한국상고사학보, 115 (1), 5-33

MLA

신지영(Shin, Ji Young),오승환(Oh, Seung Hwan). "고고학과 자연과학으로 밝히는 옛 음식의 연구 방법." 한국상고사학보, 115.1(2022): 5-33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