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후원방문판매와 새로운 유형의 다단계판매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연구

이용수 97

영문명
A Study on Consumer Protection of The Support Door to Door Selling and new Types Multi Level Marketing
발행기관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저자명
이종구(Lee, Jong Koo)
간행물 정보
『법학연구』第32卷 第2號, 215~246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Each level of the pyramid is much larger than the one before it. For a pyramid scheme to make money for everyone who enrolls in it, it would have to expand indefinitely. This is not possible because the population of Earth is finite. When the scheme inevitably runs out of new recruits, lacking other sources of revenue, it collapses. Since the biggest terms in this geometric sequence are at the end, most people will be in the lower levels of the pyramid; accordingly, the bottom layer of the pyramid contains the most people. Therefore, a pyramid scheme is characterized by a few people (including the creators of the scheme) making large amounts of money, while subsequent members lose money. For this reason, they are considered scams. These scams exploit the trust and friendship that exists in groups of people. Because of the tight-knit structure of many groups, outsiders may not know about the affinity scam. Victims may try to work things out within the group rather than notify authorities or pursue legal remedies. Affinity scams often involve “Ponzi” or pyramid schemes where new investor money is used to pay earlier investors, making it appear as if the investment is successful and legitimate. With little or no legitimate earnings, Ponzi schemes require a constant flow of new money to survive. When it becomes hard to recruit new investors, or when large numbers of existing investors cash out, these schemes tend to collapse. Ponzi schemes are named after Charles Ponzi, who duped investors in the 1920s with a postage stamp speculation scheme.

목차

Ⅰ. 서론
Ⅱ. 현행 방문판매법상 다단계판매와 후원 방문판매
Ⅲ. 새로운 유형의 다단계판매
Ⅳ. 방문판매법상 소비자보호 및 항변권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종구(Lee, Jong Koo). (2021).후원방문판매와 새로운 유형의 다단계판매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 32 (2), 215-246

MLA

이종구(Lee, Jong Koo). "후원방문판매와 새로운 유형의 다단계판매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 32.2(2021): 215-246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