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Process of Forming ‘YHWH Monotheism’ and the Change of YHWH’s Status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저자명
- 이긍재(Keung-Jae Lee)
- 간행물 정보
- 『신학사상』신학사상 195집(2021년 겨울호), 227~25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국문 초록
이스라엘 ‘YHWH 종교’는 다양한 역사적 사건을 경험하고 여러 과정을 거쳐 발전하였다. 초기 이스라엘 신앙에서 YHWH는 여러 신들과 공존했다. 그러나 여러 신들을 동시에 숭배하는 이스라엘 주변 국가의 일반적인 ‘다신 숭배 신앙’과는 거리가 있다. 무엇보다 이스라엘 왕국이 탄생한 후, YHWH는 이스라엘의 ‘국가신’이자 최고의 신으로 섬겨졌다. 그러나 이스라엘 민간 신앙에서는 여전히 YHWH와 함께 가나안 종교가 성행했다는 사실을 부정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여러 신들 중에서 한 신을 선택하여 섬기는 ‘단일신 신앙’이나 ‘일신 신앙’, YHWH와 엘 또는 YHWH와 바알을 동일시하려는 ‘혼합주의 신앙’ 그리고 아나트, 아세라 그리고 이쉬타르와 같은 여신을 YHWH의 배우자로 선택하려는 ‘이신 신앙’의 흔적들도 확인된다. 그러나 이러한 신앙들 역시 이스라엘 YHWH 종교의 주류는 아니었다.
왕국 초기 이스라엘의 YHWH 신앙은 기원전 9세기 이세벨의 바알 신앙에 의해서 큰 위기를 맞는다. 이러한 바알 신앙에 대항하여 엘리야는 YHWH와 바알 중 YHWH를 선택할 것을 요구하는 ‘오직-YHWH-신앙’ 운동을 시작한다. 이러한 신앙 운동은 아모스-호세아를 거쳐 지속되었지만, 아시리아에 의한 북왕국 이스라엘의 멸망과 함께 실패한다. 그러나 남 왕국 유다에서는 히스기야와 요시야의 종교 개혁을 통해서 유지되었다. 두 번의 종교 개혁의 핵심은 남유다에서 이전 신앙 운동과는 달리 타 종교에 대하여 좀 더 배타적인 종교 정책을 추진했다는 것이다. 또한 예루살렘 중앙 성소화 작업을 통해서 YHWH는 확실히 국가신의 지위를 얻게 된다. 그러나 기원전 9세기부터 요시야 시대까지 이어진 배타적 ‘오직-YHWH-신앙’ 운동은 바빌로니아 침략으로 인한 유다 왕국의 멸망과 함께 결국 실패한다.
이러한 정치적 위기 속에서 이스라엘은 새로운 YHWH에 대한 신앙고백, 즉 ‘YHWH 유일신 신앙’을 고백한다. 오직 YHWH 한 분만이 참신이고 다른 신들은 존재하지 않으며, 오직 YHWH만이 유일한 ‘창조주’ 이자, 온 세상의 유일한 ‘역사의 주관자’임을 고백하게 된 것이다.
영문 초록
‘YHWH-religion’ of Israel developed through several processes and various historical events. In the early Israeli faith, YHWH coexisted with several gods. However, it is far from the general “Polytheism” practiced by the nations around Israel, where several gods are worshiped simultaneously. After the birth of the kingdom of Israel, YHWH was served as Israel’s ‘national god’ and the supreme God. However, in folk beliefs, it cannot be denied that the Canaanite religion still existed alongside the YHWH-religion. There is evidence are several approaches to religious belief: 1. “Henotheism” or “Monolatry” which means to choose and serve one of several gods, 2. “Syncretism” to identify YHWH with El, or YHWH with Baal, and 3. “Dyotheism” to choose one goddess like Anat, Ashera and Ischtar as YHWH’s spouse are also confirmed. However, these beliefs were not in the mainstream of Israel’s YHWH religion.
Israel’s YHWH faith in the early kingdom was faced with a great crisis when Ahab injected the Baal religion in the 9th century BC. Against the Baal religion, Elijah initiates the “YHWH-alone movement” that demands people make a choice between YHWH and Baal. This faith movement continued through Amos-Hosea, but failed with the destruction of the northern kingdom of Israel by Assyria. But in Judah, the southern kingdom, it was maintained through the religious Reformation of Hezekiah and Josiah. The core of the two religious reforms, contrary to the previous religious movements, was that it promoted a more exclusive religious policy for other religions. And through the work of the central sanctuary in Jerusalem, YHWH certainly gained the status of a state god. However, the exclusive ‘Yahweh-alone movement’ from the 9th century BC to the time of Josiah eventually failed with the fall of the kingdom of Judah to Babylonia.
In this political crisis, Israel confesses a new faith in YHWH, namely “YHWH Monotheism”. Only YHWH is the true god, no other gods exist, and only YHWH is the creator of the whole world, and the only ruler of the whole world’s history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